<앵커>
응급이나 중증 환자가 아닌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사람이 권역응급센터를 찾아가면 앞으로는 진료비를 더 많이 내야 합니다. 응급실 진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 정부가 내놓은 대책입니다.
자세한 내용, 박하정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전공의 1만여 명이 병원을 떠난 지난 2월 이후, 중증, 응급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의료기관은 갈수록 늘어 왔습니다.
정부는 오늘(7일) 중증이나 응급 상황이 아닌, 경증인데도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찾은 환자에 대해서는 의료비 본인 부담을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정윤순/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 : 의료자원의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효율화해서 중증은 권역(응급의료센터)으로 가고, 중증이 아니신 분들은 지역(응급의료센터)으로….]
권역응급센터는 전국에 44곳.
이곳을 찾은 경증 환자는 현재, 외래 진료만 받으면 평균 13만 원, 입원까지 하면 평균 93만 원을 본인 부담으로 내고 있습니다.
이 본인 부담금을 인상한다는 건데, 얼마나 올릴지는 의견 수렴을 거쳐 확정하겠다고 정부는 덧붙였습니다.
정부는 응급의료센터에 군의관과 공중보건의도 투입할 방침입니다.
현재 상급종합병원에 파견돼 전공의 공백을 메우고 있는 군의관과 공보의는 434명.
의료 인력 보강이 시급한 응급센터에는 이들을 이동, 배치한다는 겁니다.
수련병원의 전문의 공백은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사직한 레지던트 5천701명 가운데 현재까지 11%인 625명이 의료 현장으로 돌아왔지만, 수련병원 전공의가 아닌 병의원의 일반의로 집계됩니다.
지난달 31일 마감했던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는 모집 정원의 1.4%만 지원했는데, 정부는 이달 중순까지 추가 모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는 '의대 증원 철회' 요구에 대한 정부 입장에 변화가 없어, 추가 모집을 하더라도 전공의들이 지원에 나설 분위기는 아니라고 전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 영상편집 : 김병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