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5년 평양에서 여동생 상봉하는 지학순 주교 모습
아웅산 테러 뒤 처음 남북이 마주 앉은 회담장의 험악한 분위기와, 분단 뒤 첫 이산가족 고향 방문을 성사하기 위한 협상 과정 등을 보여주는 남북회담 사료가 공개됐습니다.
통일부는 1981년 1월부터 1987년 5월까지 인도주의 협력과 체육분야 남북회담문서 1천693쪽을 일반에 공개했습니다.
통일부의 남북회담 문서 공개는 이번이 다섯 번째입니다.
공개 문서에는 1982년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발표, 1983년 버마 아웅산 묘소 폭발사건과 1984년 남북한 체육회담, 1984년 남북한 수재물자 인도 인수와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 1985년 남북 이산가족 고향방문과 예술공연단 교환 등의 자료가 포함됐습니다.
북한은 1983년 아웅산 폭탄 테러 3개월 뒤 북미와 한국이 참여하는 3자 회담을 들고 나왔고, 다음해에는 두 달밖에 남지 않은 LA올림픽 단일팀 구성을 논의하자고 돌연 제의했습니다.
하지만, 1984년 4월 어렵게 복원된 회담에서는 의제 논의는 뒤로 밀린 채 아웅산 폭발 테러와 영화인 신상옥·최은희 납치사건을 두고 고성과 욕설이 오갔습니다.
남측 대표는 첫 발언에서부터 아웅산 테러에 대해 시인·사과하라고 북측에 요구했고, 북측은 아웅산 테러가 남측의 "자작극에 불과하다"고 맞섰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측은 제1·3차 체육회담에 앞서 남측이 판문점 일대에 '삐라'를 뿌리는 '도발행위'를 했다고 주장하며 남측을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남측 대표는 "부자세습왕조 구축과 우상화는 자유세계는 물론 심지어 공산권 내부에서까지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고 북한을 직격하기도 했습니다.
북한의 수재물자 지원을 계기로 이뤄진 1984년 11월 남북적십자 예비접촉에서 북측 대표는 "제8·9차 적십자 본회의를 축제 분위기에서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며 예술단 상호 교환 공연을 제의했습니다.
이에 대해 남측 대표는 "축제라 해놓으면 우리가 임무에서 벗어난 듯하고, 특히 이산가족들이 그걸 들으면 잘 안 맞는 것 같다"고 응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국 남북은 예술공연단과 고향방문단을 동시에 추진하기로 타협하면서, 역사적인 첫 이산가족 상봉 합의가 도출됐습니다.
남북은 몇 차례 회의를 거치면서 이산가족과 예술공연단을 각각 50명으로 구성하기로 타협했지만, 실제로 상봉이 이뤄진 경우는 남북을 합쳐 61명에 그쳤습니다.
9·10차 적십자 회담에서 남측은 2차 상봉 합의를 시도했으나 북한의 무관심으로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못했고, 다음 이산가족 상봉은 무려 15년이 지난 김대중 정부에 들어서 성사됐습니다.
(사진=통일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