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라이브] 수도권 상승, 지방 하락…부동산 양극화 현상, 일본 따라가나? (ft. 김준환 교수)

0627 경제자유살롱
※ 아래 배너를 누르면 <경제자유살롱> 라이브를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스프 이미지
최고의 경제전문가들이 전해주는 분석과 해석을 통해 시대를 이겨내는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SBS 경제자유살롱입니다.

최근 주택 매매 거래량이 살아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분위기가 어떻게 다른지, 또 수도권과 비수도권은 어떻게 다른지, 오늘 라이브에서는 김준환 서울디지털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대한부동산학회 부회장)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진행 : 제희원 기자)
- 현재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은 하락 폭을 만회하는 '반등기'
- 향후, 부동산 시장은 양극화=서울 포함 수도권만 상승, 지방은 하락 가능성 커
- 부동산은 인구와 밀접한 관계 있어=양극화의 주원인으로 작용
- 부동산 양극화 현상=일본과 닮은 꼴
- 가격이 오르는 부동산, 떨어지는 부동산, 가치가 0인 부동산=부동산 삼극화 현상도 주목해야
- 수도권 부동산과 지방 부동산 격차…점점 벌어질 듯
- '5월 주택 매매 거래량' 약 5천500건…하지만 허수 많아
- 최근 주택 매매 거래량 상승 원인은 신생아 특례 대출 영향 커
- 실제 9억 이하 주택 매매 거래량 급등
- 신생아 특례 대출 효과, 전체 부동산 시장 견인하기엔 역부족
- 9억 이하, 85㎡ 이하 등 제한적으로 영향 미칠 듯
- '신생아 특례 대출'의 대표 부작용=저출생…대출 급증으로 인한 자녀 출산 기피할 가능성 커져
- 전반적으로 바닥을 다졌다고 볼 수 있어
- 부동산 우상향 시대의 종말
- 스트레스 DSR 연기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 변곡점 맞은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의 변수 1) 금리 2) 경기 3) 심리(기대감)
- 서울 주택 '생애 최초' 구입자 비율, 10년 만에 최대…신생아 특례 대출 효과
- 수도권 공급(신규 분양) 부족의 가장 큰 원인=공사비 급등
- 공급 급감으로 인한 부동산 폭등? 일부 원인일 뿐, 집값 견인하긴 어려워
- 입지의 중요성 점점 커져…장기적인 안목으로 내 집 마련해야 할 때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