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튬 배터리 '열 폭주'…진화 왜 어렵나?

<앵커>

큰불은 잡혔지만, 아직 안심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닙니다. 리튬 배터리는 불이 붙으면 내부에서 계속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불이 꺼진 것처럼 보여도 다시 살아날 수 있습니다.

정성진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24일) 불이 난 일차전지 제조업체 공장 2층 작업장에서는 리튬 배터리 완제품을 검수하고 포장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습니다.

소방 당국은 원통형 리튬 배터리 3만 5천 개가 화재 현장인 2층에 쌓여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물론이고 휴대전화,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는 한번 불이 붙으면 순식간에 번지고, 진화가 어려워 자칫 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통상 리튬 배터리 화재는 '열 폭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데, 순식간에 800도 이상으로 치솟습니다.

배터리 안에서 벤젠과 불산 등 유독가스가 나오고, 특히 열 폭주 시에는 가연성 가스인 수소가 발생해 화재를 더 키울 수 있습니다.

이 고온의 열과 가스로 인해 주변 배터리까지 연쇄적으로 폭발하면서 불이 확산할 수 있습니다.

오늘 화재 현장에서도 연쇄 폭발이 이어지며 화염과 연기가 가득해 소방대원이 내부 진입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리튬 배터리는 금속성 물질이기 때문에 물로 진화할 수 없는 것도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입니다.

불이 꺼진 것처럼 보이더라도 내부에서는 수백 도의 열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언제든 불씨가 되살아날 수도 있습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