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대 '무기한 휴진' 투표하기로…"중단해야" vs "멈출 수 없어"

서울대 '무기한 휴진' 투표하기로…"중단해야" vs "멈출 수 없어"
▲ 휴진 들어간 분당서울대병원

지난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 의과대학·병원 교수들이 다음 주에도 휴진을 지속할지 투표에 부치기로 했습니다.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오늘(20일) 오전 총회를 열어 비대위 활동 경과를 공유하고 다음 주에도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에서 휴진을 이어갈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그 결과 비대위는 무기한 휴진 등 향후 계획에 대해 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오늘부터 투표를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비대위는 오늘 총회에서 나온 교수들의 의견을 반영해 휴진 기간과 투쟁 방식 등에 대해 투표할 방침입니다.

비대위 관계자는 "다음 주 이후에도 휴진할지가 투표의 가장 주된 내용"이라며 "이외에 어떤 방식의 저항을 할지 등도 같이 다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체 투표 이후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소요돼 이르면 21일, 늦어지면 22일 공개될 것으로 비대위는 예상했습니다.

총회에서는 무기한 휴진을 두고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과 "그래도 이 싸움을 그만둘 수는 없다"는 등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비대위는 내부에서도 여러 목소리가 나오는 만큼 투표 결과를 보고 향후 대응 방향을 신중히 정할 방침입니다.

비대위는 휴진 외에도 국회와의 접촉을 통한 의견 개진, 대한의사협회(의협)를 비롯한 다른 의료계와 연대 등도 폭넓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앞서 비대위는 무기한 휴진을 예고한 뒤 우선 첫 주인 이달 17∼21일 진료 예약을 연기했습니다.

다음 주 진료 예약을 변경하려면 오늘 결정해 21일부터는 일정을 변경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대병원 휴진 돌입 사흘째 (사진=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 사이에서도 환자 불편 등을 이유로 무기한 휴진이 얼마나 이어질 수 있을지 회의적인 의견이 나옵니다.

병원장이 집단휴진 불허 방침을 밝힌 가운데, 병원 내부에서 진료 예약 변경 등에 대한 직원들의 협조도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무기한 휴진이 나흘째를 맞으면서 진료와 수술도 차츰 회복하는 추세입니다.

서울대병원 내부에서는 무기한 휴진 첫날인 지난 17일 외래 진료가 줄어들긴 했으나 이후 18일, 19일까지 조금씩 늘어난 것으로 파악합니다.

비대위 내부에서도 무기한 휴진을 이어갈지를 두고 혼선을 빚기도 했습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무기한 휴진 첫날 기자회견 현장에서 "지금은 일단 일주일보다 더 (휴진) 일정을 조절할 계획이 없다. 무기한이라고 이야기하는 건 옳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강 위원장의 발언이 확산하면서 휴진이 예상보다 이르게 종료될 수 있다는 기대가 퍼져나가자 비대위는 부랴부랴 "공식 입장이 아니다"고 정정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