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엔비디아 CEO "휴머노이드 로봇 2∼3년 내 획기적 발전 있을 것"

엔비디아 CEO "휴머노이드 로봇 2∼3년 내 획기적 발전 있을 것"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I(인공지능)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가 앞으로 2~3년 이내에 휴머노이드 로봇(인간형 로봇) 기술이 획기적 발전을 이룩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국시보와 연합보 등 타이완언론이 보도했습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전날 사전 녹화로 방영된 타이완 TVBS 방송 프로그램에서 이같이 언급했습니다.

황 CEO는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와 관련, 해당 로봇이 앞으로 자동차처럼 보급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100년 후에는 휴머노이드 로봇 보편화로 없는 곳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앞으로 2~3년 안에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이 획기적인 진전을 이룩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황 CEO는 전 세계적인 노동력 부족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현상) 영향으로 더 많은 제조 능력이 필요하게 돼 로봇이 많은 제품을 만들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AI 훈련을 통해 로봇이 물리적 세계의 상식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황 CEO는 과거 지식 창출이 주로 인간에 의존했지만, 미래는 슈퍼컴퓨터가 새로운 지식 발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므로 향후 AI 슈퍼컴퓨터가 미래의 지식 발견의 도구가 될 것이라면서 타이완이 더 많은 AI 슈퍼컴퓨터에 투자하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황 CEO는 AI가 인간 통제를 벗어나 독립적 사고와 결정을 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AI가 인간을 통제하거나 인간 통제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는 항공기기 조종사 없이 자동비행장치(오토파일럿)를 이용해 이착륙이 가능하더라도 안전을 위해 각종 안전장치를 확보한다면서 AI와 관련한 자율과 자동화 기술을 신중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황 CEO는 엔비디아가 AI 혁명 발전을 촉진하는 세계의 엔진이라면서 기업과 학생들이 각각 AI 전략 수립 및 AI 교육 등 그들의 목표를 위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젠슨 황 CEO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미국 정부의 대(對)중국 칩 수출 금지령에 대해 미국 정부가 발표하는 정책을 준수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그는 중국이 매우 중요하고 규모가 큰 시장이라면서 엔비디아가 관련 법률을 준수하면서 대중국 수출이 가능한 제품을 제조해 중국 고객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엔비디아가 관련 법률과 제품 제조 경쟁력 유지 측면에서 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