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방장관 "러 첨단 기술 북 이전 가능성 작아…위성은 러 기술"

국방장관 "러 첨단 기술 북 이전 가능성 작아…위성은 러 기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더라도 러시아가 북한에 최첨단 군사기술을 모두 넘겨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예측했습니다.

신 장관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의 가장 진보된 군사 기술을 (북한에) 이전할지는 불확실하며, 가능성은 매우 작다"고 말했습니다.

신 장관은 "러시아가 (최첨단 기술을) 이전하기로 결정하면 러시아가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완전히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그래서 그들은 그것을 마지막 수단으로 남겨둘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러시아가 북한과 무기 거래로 일부 군사 기술을 제공하고 있고, 푸틴 대통령이 곧 방북하더라도 러시아가 최첨단 기술은 최후의 지렛대로 남겨두리라는 관측입니다.

지난달 27일 발사 직후 폭발한 북한 군사정찰위성과 관련해 신 장관은 "러시아가 북한에 새로운 엔진 기술을 제공한 것으로 보이지만, 시스템 통합에 문제가 있어 발사가 실패로 끝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신 장관은 "그것(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체 엔진)은 정확히 러시아의 최신 엔진 기술"이라며 "북한은 현재 엔진 시험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하반기에 또 다른 발사를 시도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북한 위성 발사체가 러시아 기술이라는 신 장관의 설명은, 북한 당국이 해당 발사체에 적용했다고 밝힌 '액체 산소와 석유 발동기'가 러시아의 엔진 기술이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신 장관은 한국과미국, 일본의 안보 협력을 제도화하는 문서에 조만간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신 장관은 미국과 일본의 국방장관과 함께 "올해 하반기 안에 (문서에) 서명할 예정"이라며 "가능한 한 빨리 만날 수 있도록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미일은 이달 초 싱가포르에서 있었던 제21차 아시아안보회의에서 국방장관 회담을 갖고 '한미일 안보협력체계'를 연내 작성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신 장관은 인터뷰에서 "우선순위는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보다 효과적이고 신속하고 일관되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한미일 간에 구축하고 이를 되돌릴 수 없게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