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대 교수부터 개원가까지 '파업' 전운…'진짜 의료대란' 올까

의대 교수부터 개원가까지 '파업' 전운…'진짜 의료대란' 올까
의과대학 교수부터 개원의까지 의료계 전반에 '총파업' 전운이 감돌며 '진짜 의료대란'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실질적인 휴진 참여율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집단행동에 대한 회원들의 압도적 지지를 확인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정부가 집계한 휴진 신고율은 4%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내일(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고, 의협은 모레(18일) 전면 휴진과 함께 전국의사 총궐기대회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비대위는 서울대병원 교수들 상당수가 휴진에 동참할 것으로 보면서도 '진료가 완전히 멈추는' 상황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비대위는 '당장 서울대병원 진료가 필요한' 환자들을 외면하지는 않겠다고 누누이 강조해왔습니다.

중증·희귀질환 환자에 대한 진료는 물론이고 응급실과 중환자실, 신장투석실, 분만 진료 등도 유지합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의협보다 하루 앞서 무기한 휴진에 돌입하는 데다, 모레(18일) 의협이 주도하는 휴진에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와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등이 일제히 참여 의사를 내비쳐 '역대급' 진료 중단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의료계 안팎에서는 실질적인 참여율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의료계 안에서 의협의 전면 휴진에 불참하겠다는 선언이 잇따르면서 파업의 단일대오에 균열이 가는 모양새입니다.

한 동네병원의 진료시간 안내문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의협의 집단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대한응급의학회와 대한마취통증의학회는 총궐기대회에 참여하겠다면서도,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진료는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의협의 집단휴진과 관련해 정부가 개원의 등을 상대로 집계한 휴진 신고율도 높지 않습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모레(18일) 휴진을 신고한 의료기관(의원급 중 치과·한의원 제외, 일부 병원급 포함)은 총 1천463곳으로, 전체 3만6천371곳의 4.02%에 불과했습니다.

개원가 뿐만 아니라 의대 교수들의 실제 참여 규모도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많습니다.

서울대병원의 경우 김영태 병원장이 나서서 집단휴진을 불허한 뒤 내부에서 진료예약 변경 등 업무 협조도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한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교수들이 휴진에 참여한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휴진을 신청하거나 진료를 조정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며 "당일이 돼봐야 알겠지만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