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민의힘 '원톱 체제' 유지…전대 민심 반영 비율 20·30% 2개안 압축

국민의힘 '원톱 체제' 유지…전대 민심 반영 비율 20·30% 2개안 압축
▲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결정사항 발표하는 여상규 당헌당규개정 특위위원장

국민의힘이 당 대표 1인에게 권한을 몰아주는 '원톱' 방식의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당헌·당규 개정특별위원회는 오늘(12일) 여의도 당사에서 회의를 열어 지도체제와 관련한 개정 의견을 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전당대회에 즈음해 짧은 기간 활동하게 되는 특위에서 결정하기보다는 새 지도부가 시간을 충분히 갖고 심도 있는 논의로 결정하는 게 타당하다는 게 다수 의견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다음 달 23일이나 24일 개최가 유력한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할 방침입니다.

특위는 앞서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집단체제나 절충형 2인 체제로 바꾸는 방안을 논의해 왔습니다.

당 대표가 권한을 갖는 단일지도체제는 대표와 최고위원을 통합 선출해 권력이 분산되는 집단지도체제와 대비됩니다.

특위는 또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원투표로만 당 대표를 뽑는 현행 규정을 고쳐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당헌·당규 개정에 만장일치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국민 여론조사 비율은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30%, 20% 두 가지 안 모두 비상대책위원회에 넘기기로 했습니다.

여 위원장은 "특위 위원 7명 중 3명이 민심 반영 비율 30% 안에 찬성했고, 나머지 3명이 20% 반영 안에 찬성했다. 그리고 한 명은 중립 의사를 밝혔다"며 "비대위원회에는 '8대 2 안' 그리고 '7대 3 안' 두 가지를 각각 반영한 당헌·당규개정 초안을 넘기기로 의결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밖에 특위는 대통령 후보로 출마할 경우 1년 6개월 전 당직을 사퇴하도록 한 당권·대권 분리규정과 결선투표제는 현행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오늘 특위가 마련한 당헌·당규 개정안은 내일 당 비상대책위원회에 보고될 예정입니다.

비대위 의결 후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통과하면 최종 확정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