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북 확성기 오늘 가동하지 않는다…북, 대남 확성기 재설치 동향

대북 확성기 오늘 가동하지 않는다…북, 대남 확성기 재설치 동향
군 당국이 오늘(10일)은 대북 심리전 수단인 최전방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국방부 출입기자단 대상 공지를 통해 "대북 확성기 방송은 현재까지 실시하지 않았고, 오늘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북한이 비열한 행위를 할 경우에는 즉시라도 방송할 준비는 돼 있다"고 밝혔습니다.

군의 한 소식통은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 상황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의 다른 소식통도 "우리 군이 어제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고 오늘도 꼭 틀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속도 조절을 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말했습니다.

군 당국은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해 어제 대북 확성기를 가동했지만, 오늘은 긴장이 고조된 상황을 고려해 가동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한 것입니다.

다만, 군 당국은 북한이 전방지역에 대남 방송용 확성기를 설치하는 동향을 포착해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대북 확성기 설치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보입니다.

합참은 "북한이 전방지역에 대남 방송용 확성기를 설치하는 동향이 식별됐다"며 "현재까지 대남 방송은 없었지만, 우리 군은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은 우리와 마찬가지로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에 따라 최소 30여 곳에 달하는 대남 확성기를 없앤 바 있습니다.

북한도 대남 방송을 다시 시작한다면 남북이 동시에 확성기를 통해 심리전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군과 정부가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기로 결정한 배경에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전날 담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 확성기방송 재개, 김여정 담화 발표

북한은 전날 우리 군이 2018년 이후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가동을 재개하자, 밤부터 이날 아침까지 대남 오물 풍선 310여 개를 추가로 살포했습니다.

김 부부장은 오물 풍선 살포 직후 담화에서 "만약 한국이 국경 너머로 삐라(대북전단) 살포 행위와 확성기 방송 도발을 병행해 나선다면 의심할 바 없이 새로운 우리의 대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부부장이 '새로운 대응'을 언급하며 위협성 발언을 했지만, 북한이 극도로 민감해하는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에 대응한 담화치고는 대남 비난 발언의 수위가 예상보다 강하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입니다.

북한군에서 별도의 담화나 성명이 나오지도 않았습니다.

정부 소식통은 "김여정 담화의 톤이 그리 강하지 않다. 조준 타격 등 강한 발언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는데 수위를 조절해서 발표한 느낌"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북한이 어제 바람 방향이 맞지 않는데도 오물 풍선을 날린 데 대해선 "대북 확성기 방송에 대응하는 모습이라도 보여주기 위한 다급한 행동"이라며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는 취지로 이 소식통은 평가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을 위해 이날 출국한 것도 확성기 가동을 보류한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 순방 기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수위가 크게 높아지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인 셈입니다.

그러나 북한은 민간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에 대응해 대남 오물 풍선을 살포하고 있어 대북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더라도 민간단체가 전단을 보내면 또 오물 풍선을 날려 보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일부 민간단체들은 이번 주에도 바람의 방향이 맞으면 대북전단을 보내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대통령 순방 기간에 긴장이 고조되는 것은 부담스러운 부분이지만 북한이 강하게 도발한다면 그것이 더 큰 고려 요소"라며 "(확성기 재가동은)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확성기 설치도 아직 완료된 것은 아니다"며 "확성기 설치를 계속해나가고, 우리가 방송을 언제 틀고 하는 문제는 여러 요소를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2018년 4월 남북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 및 철수되기 전까지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24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었고 이동식 장비도 16대가 있었으며 이후 창고에 보관됐던 고정식 확성기 일부가 재설치돼 어제 대북 방송에 활용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