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블더] "가해자 대기업 다녀"…단박에 '업무 배제' 조치

20년 전 발생한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이 재조명받고 있죠.

사적 제재 논란 속에서도 가해자로 지목된 인물들에 대한 신상 폭로가 이어지면서 후폭풍도 계속되고 있는데요.

대기업에 다니고 있다며 세 번째로 신상이 공개된 가해 지목 남성은, 회사 측으로부터 임시 발령 조치를 받은 걸로 확인됐습니다.

한 유튜버가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의 가해자의 신상을 공개한다며 올린 영상입니다.

가해자로 지목된 남성 A 씨의 이름과 얼굴은 물론이고, 출신 학교, 재직 중인 대기업 정보까지 구체적으로 담겼습니다.

이 영상 조회수는 이틀 만에 60만 회까지 치솟았습니다.

파장이 커지면서 영상에 등장한 대기업은, 실제로 A 씨가 재직 중인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또, 일단 A 씨를 업무에서 배제하는 인사 조치를 내렸으며, 이에 대한 본인의 이의 제기는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기업 관계자 : 현재 (A 씨가) 업무를 지속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해서 임시 발령 조치를 일단 했습니다.]

또 사실 관계를 조사해서, 결과에 따라 향후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다른 유튜브 채널에서도, 다른 두 명의 남성을 가해자로 지목해 신상을 먼저 공개했는데요.

그러면서 "피해자 가족 측의 동의를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피해자를 지원하는 단체 중 한 곳인, 한국 성폭력 상담소는 반발하고 나섰는데요.

지난 5일, 한국 성폭력 상담소는 입장문을 내고 "피해자와 가족 모두 가해자 44명 모두의 신상을 공개하는 방향에 동의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런 행위는 "피해자 측의 일상 회복과 거리가 멀다"며 오히려 피해자 측이 신상 공개 영상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유튜버들이 경쟁적인 사적 제재를 이어가면서, 결국 부작용으로 이어진 겁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사법에 대한 불신이 사적 제재를 허용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며 법원과 국회가 움직여서 무너진 사법 신뢰를 회복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윤호/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사적제재가 순수하지 않아요, 이유는 돈이 걸려 있잖아요. (피해자는) 20년 전 일을 다시 겪어야 되니까 그게 더 큰 문제가 되는 것이죠. 이런 사적제재가 필요 없는 사회가 되도록 해야 된다는 거죠. 반성문 수십 번 썼다고 10년, 20년 깎아줘 이런 사법 제도를 누가 믿겠냐고요. 사법 불신이 없어진다면 사적제재 할 이유가 없죠. 대법원의 양형위원회가 있잖아요, 양형 기준을 올려야죠. 법이 없거나 부족해서 안 되면 국회에서 입법을 해야 될 것이고, 그게 우선이죠.]

(영상편집 : 문이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