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제가 어렵다 어렵다 하는데…쪼그라드는 경차시장, 왜?

경제가 어렵다 어렵다 하는데…쪼그라드는 경차시장, 왜?
▲ 현대차 캐스퍼

국내 승용차 시장의 고급화·대형화 추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경차 판매가 감소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출시가 예정된 경차 신차도 국내와 수입업체 통틀어 캐스퍼 전기차(EV)가 유일해 올해 연간 판매는 11만 대를 간신히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6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시장의 경차 판매량은 8천984대로 지난해 같은 달(9천959대) 대비 15.4% 줄었습니다.

올해 1∼5월 누적 경차 판매량은 4만 6천517대로 작년 같은 기간(5만 562대)보다 8.0% 줄었습니다.

이러한 감소세가 올해 말까지 이어질 경우 국내시장의 연간 경차 판매량은 11만 대를 겨우 채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집계에 따르면 국내 경차 판매량은 2012년 21만 6천221대로 최다를 기록한 후 매년 감소해 2021년에는 10만 대에 못 미치는 9만 8천781대로 곤두박질쳤습니다.

10년 전에 비해 시장 규모가 54%나 쪼그라든 셈입니다.

국내 경차 시장은 2021년 9월 현대차의 첫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캐스퍼 출시 후 반등의 기회를 잡았고, 이듬해인 2022년 연간 판매가 13만 4천294대까지 늘었습니다.

캐스퍼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지난해 상반기 경차 판매량은 10%에 가까운 판매량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같은 해 9월 35.2kWh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레이EV가 출시되면서 지난해 연간 판매량은 12만 4천80대를 기록하며 체면치레했습니다.

자동차업계는 올해 캐스퍼, 레이EV 등과 같은 독보적 신차 출시 계획이 없어 경차의 인기 하락 추세는 되돌리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레저용 차량(RV) 등을 중심으로 대형화·고급화한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이 '경차 외면'으로 이어졌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업체들이 수익성이 낮은 경차보다는 수익성이 높은 중대형 차종을 집중하는 것도 이런 추세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모닝과 레이, 스파크가 이끌어왔던 경차 시장에 캐스퍼가 가세하면서 부활 조짐이 있긴 했지만, 독보적 신차가 출시되지 않는 한 경차 외면 추세는 돌이키기 쉽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