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경제성장률의 86%, 수출이 이끌어"

"작년 경제성장률의 86%, 수출이 이끌어"
작년 한국의 경제 성장에 수출이 80% 이상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또 작년 수출을 통한 국내 생산 유발 효과는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보다 자동차가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무역협회는 오늘(2일) 펴낸 '2023년 수출의 국민 경제 기여 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작년 우리나라 수출이 생산·부가가치·고용 유발에 크게 기여하면서 한국 전체 경제 성장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무역협회는 작년 수출의 경제 성장 기여도가 1.17%포인트로, 지난해 경제성장률(1.36%)의 86.1%를 수출이 이끈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한 비중도 2020년대 들어 가장 높은 35.7%에 달했습니다.

수출의 생산 유발액은 2020년 이후 연평균 7.4% 증가해 작년 1조2천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작년 품목별 생산 유발액은 자동차가 2천313억 달러로 가장 높았고, 반도체(1천434억 달러), 기초화학물질(774억 달러), 석탄 및 석유제품(764억 달러)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총수출이 국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가가치율도 64.6%로 2022년 대비 0.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2022년 한국의 부가가치 유발액 1위 품목은 반도체였지만, 작년에는 자동차의 부가가치 유발액이 659억 달러로 반도체(622억 달러)를 상회했다고 무역협회는 전했습니다.

2023년 기준 국내 전체 취업자 2천842만 명 중 수출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취업자는 483만 명으로 전체의 17.0%를 차지한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사진=한국무역협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