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대 은행원 평균 연봉, 1.1억 돌파…KB 1위

5대 은행원 평균 연봉, 1.1억 돌파…KB 1위
주요 시중은행의 지난해 예대 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전반적으로 커지면서 이익 성장을 이끈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늘어난 이익을 바탕으로 은행 직원들의 평균 연봉은 사상 처음으로 1억 1천만 원을 넘어섰고, 희망퇴직으로 받은 퇴직금 총액도 6억 원 안팎 수준까지 불었습니다.

오늘(2일)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이들 은행의 단순 평균 원화 예대 금리차(신규취급액 기준)는 1.38%포인트(p)로, 2022년(1.16%p)보다 0.22%포인트(p) 커졌습니다.

예대 금리차는 은행이 자금 차입자로부터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예금금리 간 격차로, 은행 수익의 본질적 원천입니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은행의 예대 금리차(1.55%p)가 가장 컸고, 하나은행(1.37%p)·KB국민은행(1.35%p)·우리은행(1.33%p)·신한은행(1.29%p)이 뒤를 이었습니다.

은행들은 보고서에서 예대 금리차 확대 배경에 대해 공통으로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시장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조달 비용의 경우 2022년 레고랜드사태 발 자금경색으로 늘었다가 2023년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은행 직원들의 소득과 희망퇴직금도 전반적으로 늘었습니다.

5대 은행의 작년 직원 근로소득은 평균 1억 1천265만 원으로, 2022년(1억 922만 원)보다 3.14% 증가했습니다.

5대 은행의 평균 연봉이 1억 1천만 원을 넘어선 것은 역대 처음입니다.

KB국민은행의 평균 연봉이 1억 1천821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하나은행(1억 1천566만 원)·NH농협은행(1억 1천69만 원)·우리은행(1억 969만 원)·신한은행(1억 898만 원)이 2∼5위를 차지했습니다.

소득 증가율은 우리(7.00%)·KB국민(4.78%)·NH농협(4.38%)·하나(1.04%) 순이었습니다.

신한은행은 유일하게 1.13% 정도 평균 연봉이 뒷걸음쳤습니다.

5대 은행의 평균 희망퇴직금(특별퇴직금)도 3억 5천548만 원에서 3억 6천168만 원으로 1.74% 늘었습니다.

적게는 3개월, 많게는 36개월(3년)치 월 급여가 특별퇴직금으로 지급됐습니다.

희망퇴직 시 특별퇴직금 1위는 하나은행(4억 915만 원)이었고, 우리은행(4억 265만 원)도 4억 원대로 집계됐습니다.

KB국민은행(3억 8천100만 원)·NH농협은행(3억 813만 원)·신한은행(3억 746만 원)의 특별퇴직금은 3억 원대였습니다.

5대 은행에서 지난해 희망퇴직한 은행원들이 받은 총퇴직금은 평균 6억 원 안팎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