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공화당서 또 나온 '한반도 전술핵'…재배치 가능성은

<앵커>

미국 공화당에서 북한 도발에 맞서서 한반도에 전술핵을 재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공화당에서는 커지는 북핵 위협을 지금의 바이든 정부의 정책으로는 막을 수 없다고 보고 있는 건데 실현 가능성이 있는 건지, 워싱턴 남승모 특파원이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미 공화당의 대표적 매파로 상원 군사위 간사인 로저 위커 의원이 다음 달 국방 예산 심의를 앞두고, 내년도 국방예산 75조 원 증액을 주장했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맞서 한국에 전술핵무기를 재배치하고 나토처럼 핵무기를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외교적 해법이 보이지 않으니 새로운 선택지를 모색해야 한다는 겁니다.

북한에 대해서는 미국과의 대화가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뒤 최근 전시 태세로 전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지난 15일 상원 외교위 공화당 간사도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카드를 꺼냈습니다.

[짐 리시/미 상원 외교위 공화당 간사 : 우리는 동맹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핵무기 재배치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런 논의를 금기시해서는 안 됩니다. 적들이 지켜보고 있습니다.]

공화당 최고위 인사들 사이에서 재배치론이 부상한 데는, 바이든 정부의 확장억제 정책에 대한 불신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워싱턴선언 등을 통해 확장억제를 강화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비호 속에 커지는 북핵 위협을 막기는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공화당의 재배치 제안이 조만간 실현될지는 미지수입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거리가 먼데다, 한국 내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재집권 시, 국방장관 후보로 꼽히는 밀러 전 국방장관 대행이 한국 여론을 강조한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크리스토퍼 밀러/전 미국 국방장관 대행 : 핵무기 재배치는 항상 논의 테이블 위에 있지만 저는 한국인들을 정말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11월 미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논의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은 커질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정식, 영상편집 : 김병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