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VIP 격노설' 들은 3번째 인물 특정…실체 규명 주력

<앵커>

해병대 수사단이 채 해병 사건 조사 결과를 보고한 이후, 대통령이 크게 화를 냈다는 이야기를 당시에 들었다는 사람을 공수처가 한 명 더 특정했습니다. 이른바 대통령 격노설을 알고 있었다는 세 번째 인물이 나온 겁니다. 공수처는 그 시점에 어떤 지시가 오갔는지를 밝히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공수처는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해병대 방첩부대장 A 씨가 VIP 격노를 전제로 통화를 한 녹취 파일을 확보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해병대 내에서 이른바 'VIP 격노설'을 알고 있었던 세 번째 인물이 나온 겁니다.

VIP 격노 이야기를 들었다는 또 다른 해병대 간부 B 씨는 SBS에 "당시 첩보 계통 등을 통해 'VIP 격노설'이 김 사령관에게 보고됐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종섭 전 장관이나 대통령실이 아닌 경로로 격노설이 전달됐을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수사의 쟁점은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면 어떤 내용인지를 규명하는 데 맞춰지고 있습니다.

특히 격노설의 진원점인 지난해 7월 31일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가 핵심 규명 대상입니다.

이날은 오전까지만 해도 직무배제된 뒤 사퇴 수순을 밟던 임성근 1사단장이 오후에 돌연 직무로 복귀해 뒤늦게 휴가를 신청했던 날입니다.

이날 오전 11시 VIP 격노설의 시작점으로 추정되는 대통령 주재 국가안보실 회의가 열리고, 대통령실 02-800 국번의 전화, 이종섭 전 장관의 지시 전화가 잇따른 뒤, 직무배제됐던 임 사단장이 2시간도 안 돼 복귀하게 됩니다.

이후에도 임기훈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이 이 전 장관과 박 보좌관에게 수차례 연락하고, 브리핑을 중단시킨 이 전 장관은 긴급히 정종범 해병대 부사령관을 호출합니다.

그 자리에서 정 부사령관은 특정인 수사 언급하면 안 된다는 내용의 메모를 작성한 사실이 항명죄 군사 재판 과정에서 공개됐습니다.

공수처는 당시 상황을 규명하기 위해 김계환 사령관 3차 조사를 비롯해 임 전 국방비서관 등 '윗선' 소환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채철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