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영권 흔들리나'…최태원·노소영 판결 직후 SK주가 급등

<앵커>

판결 직후 SK의 주가는 많이 올랐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의 재산 분할 액수가 나오자, SK그룹은 충격에 빠진 모습인데, 만약 상고심에서도 이 금액이 최종 확정될 경우 1조 3천억 원이 넘는 돈을 최태원 회장이 어떻게 마련할지, 이게 앞으로 그룹 경영권에 영향이 있을지.

이 내용은 김지성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SK그룹은 SK주식회사가 SK텔레콤과 SK스퀘어, SK이노베이션 등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이들 회사가 다시 SK하이닉스와 SK에너지 같은 손자회사를 지배하는 구조입니다.

SK주식회사가 그룹 지배권 정점에 있는 겁니다.

최태원 회장은 SK주식회사 지분 17.73%를 보유하고 있는데, 오늘(30일) 종가 기준으로 이 지분 가치는 2조 514억 원입니다.

상고심에서도 1조 3천800억 원의 재산분할 금액이 유지될 경우, 최 회장의 고민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 SK주식회사 지분을 팔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최 회장 측 지분율이 25.57%에 불과해, SK주식회사 지분을 대거 팔 경우 그룹 경영권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조윤상/변호사 : 지분을 처분하는 것은 최후의 수단으로 놓고 그 밖에 다른 방법들을 강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데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최 회장 지분 중 절반 이상이 이미 은행과 증권사 등에 담보로 제공돼 있기 때문입니다.

최태원 회장 변호인단이 "편견과 예단에 기반해 기업의 역사와 미래를 흔드는 판결에 동의할 수 없다"며 항소심 재판부에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낸 것도 이런 곤란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항소심 재판부는 최 회장의 재산을 4조 원가량으로 봤습니다.

최 회장으로선 대법원판결 전까지 SK주식회사의 배당 확대 등을 통해 최대한 현금을 확보하면서, SK실트론 같은 비상장주식 매각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K주식회사 주가는 항소심 판결 직후부터 급등하기 시작해 9.26% 오른 채 장을 마감했습니다.

경영권 분쟁 가능성을 염두에 둔 매수세가 일부 몰린 것으로 풀이되는데, 노소영 관장은 1심 판결 직후 언론 인터뷰에서 "요구하는 것이 재산 분할이지 회사 분할은 아니"라고 밝힌 바 있어, 경영권 분쟁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영상취재 : 김세경 박승원,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이준호·김규연)

▶ "최태원, 노소영에 1조 3,808억 줘야"…노태우 기여 인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