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새 아파트 희소성↑"…2025∼2027년 수도권 입주물량 '반토막'

"새 아파트 희소성↑"…2025∼2027년 수도권 입주물량 '반토막'
▲ 서울 남산에서 본 아파트 모습

내년부터 3년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이전 3년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5∼2027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23만4천660가구(임대 제외)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이전 3년(2022∼2024년)간의 입주 물량(44만6천595가구)의 52.5% 수준입니다.

향후 3년간 입주 물량을 보면 2025년 10만5천774가구, 2026년 6만6천838가구, 2027년 6만2천48가구 등으로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특히 서울의 2026년 입주 물량은 3천255가구로, 2025년의 13.6% 수준에 그칠 전망입니다.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 (사진=더피알 제공, 연합뉴스)

향후 공급 확대를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 자료에 따르면 2022∼2023년 수도권 아파트 평균 인허가 물량은 19만7천192가구로, 과거 10년간 평균 인허가 물량 28만7천110가구의 68.6% 수준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최근 공사비 상승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기 등으로 인허가를 받았어도 착공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분양업계에서는 입주 물량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 상황에 PF를 일으키기 쉽지 않아 인허가를 받았어도 착공에 엄두를 못 내는 사업장이 많다"며 "앞으로 점점 새 아파트를 보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러한 입주 물량 감소로 수도권 분양시장에 온기가 돌 것이라는 일각의 견해도 있습니다.

공급 절벽이 오기 전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는 해석입니다.

지난 2월 전용 84㎡를 분양가 10억 원대에 공급한 '영통 자이 센트럴파크'의 경우 고분양가 논란이 있었으나 1순위 청약에서 평균 경쟁률 12대 1을 기록하는 등 인기를 끌었습니다.

또 3월 분당에 공급된 '분당 금호어울림 그린파크'도 경쟁률 45대 1을 기록하며 흥행했습니다.

분양권 거래도 늘고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수도권 분양권 거래는 3천90건으로 작년 4분기(2천851건) 대비 증가했습니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새 아파트의 희소성이 높아지며 핵심 단지 선점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더피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