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통령실 · 정부 인사들과 최소 40차례 연락

<앵커>

채 해병 사건 조사 기록을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넘기던 날, 윤석열 대통령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이 세 차례 통화했었다고 전해 드렸습니다. 이 날을 전후해 이종섭 전 장관은 대통령실 경호처장을 비롯해 정부 관계자들과 최소 40번이나 전화와 문자를 주고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종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해 7월 28일부터 8월 9일까지 13일 동안의 이종섭 전 장관 휴대전화 통신 기록을 입수해 분석했습니다.

7월 28일은 박정훈 전 수사단장이 채 해병 유족에게 조사 결과를 설명한 날이고, 8월 9일은 이 장관이 국방부 조사본부에 경찰에서 회수한 사건을 재검토하라고 지시한 날입니다.

이 전 장관은 이 기간 동안 대통령실, 정부ㆍ여당 고위 관계자들과 최소 40차례 이상 문자와 전화를 주고받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김용현 대통령실 경호처장입니다.

두 사람은 8월 4일까지는 통신을 주고받은 기록이 없다가, 국방부가 사건 기록을 회수하고 박 전 단장을 보직해임 한 이후부터 8차례 연락이 오갔습니다.

일부 해병대 예비역 단체들은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이 윤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인 김 처장을 통해 구명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제기해 왔습니다.

경호처는 "군·경 경호부대와 통합경호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만큼 기관장 간에는 수시로 통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전 장관은 이외에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한 안보실 관계자들은 물론, 경찰을 지휘하는 이상민 행안장관, 한덕수 총리 등과도 여러 차례 연락을 주고받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또 이 전 장관의 '비서' 역할을 했던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은 임기훈 당시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 이 기간 동안 모두 25차례 통화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이 전 장관이 '02-800' 국번의 대통령실 전화를 받은 뒤 브리핑 취소를 지시한 지난해 7월 31일 6차례, 국방부 조사본부에 기록 재검토를 지시한 8월 9일에 6차례 통화가 집중됐습니다.

이 전 장관 측은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실 관계자, 국무위원 등과 통화한 걸 이상한 시각으로 보면 곤란하다며 의혹의 눈초리를 받을 부분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박기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