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노조 파업 선언…"내달 7일 연차 소진"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노조 파업 선언…"내달 7일 연차 소진"
▲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 선언 기자회견하는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삼성전자 사내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오늘(29일) 파업을 선언했습니다.

삼성전자 노조가 파업을 선언한 것은 1969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만약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삼성전자 사상 첫 파업이 됩니다.

전삼노는 오늘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들을 무시하는 사측의 태도에 파업을 선언한다"고 밝혔습니다.

전삼노의 파업 선언은 올해 임금협상을 위한 전날 노사 간 본교섭이 파행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습니다.

3개월여 만에 재개된 전날 교섭에서 노사 양측은 사측 위원 2명의 교섭 참여를 놓고 극심한 갈등을 빚었습니다.

전삼노는 "사측이 교섭에 아무런 안건도 준비하지 않고 나왔다"며 파업 선언에 대한 책임을 사측에 돌렸습니다.

전삼노는 또 "회사는 '노조 리스크'라고 얘기하지만 우리가 볼 때는 '경영 리스크'"라며 "고대역폭 메모리(HBM) 위기라고 하지만 일한 만큼 보상받지 못한다는 마음이 있고 이 때문에 사기가 떨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사진=연합뉴스)

전삼노는 즉각적인 총파업에 나서는 대신 연차 소진 등의 방식으로 단체 행동을 할 예정입니다.

우선 전삼노 집행부는 파업 선언 이후 첫 지침으로 조합원들에게 6월 7일 하루 연차를 소진하라고 전달했습니다.

또 오늘부터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 숙박 농성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전삼노 측은 "아직은 소극적인 파업으로 볼 수 있지만, 단계를 밟아나가겠다"면서 "총파업까지 갈 수 있고 파업이 실패할 수도 있지만 1호 파업 행동 자체가 의미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합원 단체행동에 따른 생산 차질 우려에 대해서는 "삼성에 타격을 주려는 게 목표가 아니라 메시지를 전달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삼노는 "본교섭 재개 가능성은 항상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사측과 본교섭 재개 논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앞서 삼성전자 사측과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교섭을 이어갔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이후 노조는 중앙노동위원위원회의 조정 중지 결정, 조합원 찬반투표 등을 거쳐 쟁의권을 확보했습니다.

전삼노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공정하고 투명한 임금제도 개선이며 이 부분이 선행돼야 한다"며 "투명하고 공정한 것은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한 성과급 지급"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는 현재 경제적 부가가치(EVA) 기준으로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주력인 반도체 업황 악화로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연간 14조 8천800억 원의 적자를 낸 삼성전자는 지난해 DS 부문의 초과이익성과급(OPI) 지급률을 0%로 책정한 바 있습니다.

현재 전삼노 조합원 수는 2만 8천여 명으로, 삼성전자 전체 직원(약 12만 5천 명)의 22% 수준입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1만 명에 못 미쳤으나 성과급에 대한 불만이 커지며 조합원 수가 급증했습니다.

이들이 대대적인 파업에 나설 경우 실적 개선 국면에 올라탄 삼성전자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인공지능(AI) 시장 확대로 수요가 급증한 HBM 시장에서 주도권을 뺏긴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반도체 사업의 새 수장으로 '반도체 신화'의 주역인 전영현 부회장을 전격 투입하는 등 위기 극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다만 전삼노가 실제로 파업에 돌입하거나 이로 인해 생산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보는 일각의 시각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구성원 사이에서는 민주노총의 개입과 연예인을 동원한 노조 행사 등에 불만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오늘 전삼노의 파업 선언에 삼성 5개 계열사 노동조합을 아우르는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은 입장문을 내고 "노동 3권에서 보장하는 단체행동권인 파업을 삼성전자 최초로 시도하는 것에 대해 응원한다"면서 "다만 최근 행보와 민주노총 회의록을 보면 직원들의 근로조건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상급단체(민주노총) 가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여 그 목적성이 불분명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초기업노조는 "단체행동을 함에 있어 직원 및 조합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반영해 성공적인 단체행동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한국노총 산하인 전삼노는 파업 선언 이후 단체 행동에서 다른 노조와 연대할 수 있다며 민주노총 등과의 협력 가능성도 열어둔 상태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