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Pick] "국내산인데 3천 원 더 저렴?"…시중에 판 콩, 중국산이었다

중국산 콩을 국내산으로 둔갑시켜 유통한 일단 검거(사진=연합뉴스)
▲ 중국산 콩을 국산으로 둔갑시킨 포장재.

중국산 콩과 녹두를 국내산인 것처럼 포장재만 바꿔 시중에 유통한 일당이 검찰에 넘겨졌습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남지원(경남농관원)은 이 같은 혐의(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위반 등)로 70대 A 씨를 구속 송치하고 50대 B 씨 등 5명을 불구속 송치했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A 씨 등은 2022년 1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경남 김해시에서 중국산 콩 340t과 중국산 녹두 9t을 국내산으로 둔갑시켜 콩나물 제조업체 등에 판매한 혐의를 받습니다.

2022년 실수요용 식용 대두 수입권을 얻어 적은 관세로 콩을 수입해 올 수 있었던 B 씨는 중국산 콩 340t을 지정 용도인 두부 제조에 사용하지 않고 모두 A 씨에게 팔아 약 1억 원을 챙겼습니다. 개인 무역업자 60대 C 씨는 A 씨가 B 씨를 통해 중국산 콩을 구입할 수 있게 알선하는 대가로 수수료 2천만 원을 챙겼습니다.

A 씨는 이렇게 얻은 중국산 콩을 나머지 일당 3명과 재고관리, 포대갈이, 배송 판매 등으로 역할을 나눠 시중에 유통했습니다.

국내산인 줄 알고 콩을 구입한 피해 업체들은 콩나물 공장 등 10여 곳에 달하며, 이들 업체에서 생산된 콩나물과 두부 등은 전국 시중 마트 등에 팔려나갔습니다.

이렇게 시중에 판매한 금액만 13억 원으로, A 씨는 약 4억 원의 부당 이익을 챙겼습니다.

아울러 A, B 씨는 단속에 대비해 생산·판매 장부를 허위 작성하고 농가에서 생산한 국내산 콩인 것처럼 원산지 증명서도 허위로 발급하거나 폐기하는 등 증거를 없애려고 했고, 거래 대금은 모두 현금으로 전달하는 등 자금 추적도 피해왔습니다.

그러던 중 경남농관원은 저가의 국내산 콩을 유통하는 업소가 있다는 첩보를 토대로 한 달간 잠복 수사와 여러 번의 압수수색을 거쳐 이들 범행을 밝혀냈습니다.

국내산 콩은 소매 기준 1㎏당 6천∼7천 원 수준이지만 이들은 1㎏당 약 4천 원에 판매했습니다.

배우용 농관원 경남지원장은 "이번 범죄 입증을 위해 시료 분석과 압수수색 등 수사 기법을 최대한 활용해 많이 노력했다"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농식품을 믿고 구입할 수 있도록 원산지 표시 위반 행위 근절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