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학생 수능 표준점수·백분위·등급, 연구자에게 100% 제공

학생 수능 표준점수·백분위·등급, 연구자에게 100% 제공
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서 나온 학생의 개별 성적을 비식별 처리한 상태로 연구자에게 100% 제공하는 등 교육데이터 개방 범위를 대폭 확대하고 나섰습니다.

교육부는 오늘(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교육데이터 개방 및 활용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방안은 교육 데이터를 보다 적극적으로 연구자들에게 개방해 정책 연구 등에 활용도를 높이고자 마련됐습니다.

이제까지 교육부는 연구자에게 100% 전수 데이터가 아닌, 70% 표본 데이터만 제공했고, 이마저도 시군구 단위가 아니라 광역지자체 단위로만 데이터를 줬습니다.

교육부는 이젠 교육 데이터는 원칙적으로 전면 개방한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또, 수능·학업성취도 평가 데이터와 관련해선 3년이 지난 후 기초지자체 단위까지 연구자에게 제공할 계획입니다.

다만, 모든 정보는 개인정보를 알 수 없도록 비식별 처리된 상태에서 제공됩니다.

이에 따라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수능이 모두 치러진 2009년부터 2020년의 시험 성적 자료가 연구자에게 제공됩니다.

연구자에게 제공되는 수능 데이터는 학생의 각 영역 표준점수 및 백분위, 등급, 성별, 시도, 시군구 등입니다.

학교별로는 과목별 응시 인원과 표준점수 평균, 과목별 등급 비율 등입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교육 데이터를 통합 수집·분석하는 통합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오는 8월 개통할 예정입니다.

누구나 쉽게 원하는 교육 데이터를 찾을 수 있도록 '교육데이터 지도'를 구축하는 한편 추천 서비스도 함께 제공합니다.

또, 개방된 교육 데이터가 사교육 업체의 영리 목적으로 활용되지 않게끔 데이터 제공 시 관련 법령을 철저히 준수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수능, 학업성취도 성적 평가 자료에 대해선 연구자가 제출한 연구 계획서 등을 더욱 꼼꼼히 심사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