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1년 뒤 모든 시도 출생아<사망자…30년간 부산·울산 인구 26%↓

21년 뒤 모든 시도 출생아<사망자…30년간 부산·울산 인구 26%↓
2045년부터 세종을 포함한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 인구가 자연감소를 보이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그 결과 2052년에는 부산·울산·경남·대구 등 4개 시도 인구가 2022년보다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계청은 오늘(28일) 이런 내용의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22∼2052년'을 발표했습니다.

통계청은 최근까지 시도별 출생·사망·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2022∼2052년 시도별 장래 인구를 전망했습니다.

최근의 시도별 인구 변동 추세가 지속된다면 중위 추계 기준 2045년부터 세종을 포함한 17개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인구 자연감소를 보입니다.

지난해까지 17개 시도 중 세종만이 유일하게 인구가 자연증가했는데, 20여 년 뒤에는 세종마저 출생아 수를 사망자 수가 역전한다는 의미입니다.

세종의 출생아 수가 2052년까지 3천∼4천 명대에서 정체하지만, 사망자 수는 2022년 2천 명에서 2052년 5천 명으로 늘어난 결과입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시도별 인구이동까지 고려하면 전체 인구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2039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그 결과 2022년 대비 2052년에는 서울(-149만 명), 경북(-46만 명), 전북(-33만 명), 광주(-29만 명), 전남(-28만 명) 등 15개 시도의 총인구가 감소합니다.

특히 부산은 330만 명에서 245만 명으로 85만 명(-25.8%), 울산은 111만 명에서 83만 명으로 29만 명(-25.7%) 각각 감소합니다.

대구(-58만 명)와 경남(-69만 명)도 각각 24.3%, 21.0% 줄어듭니다.

반면 세종은 16만 명(41.1%), 경기는 12만 명(0.9%)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저출생 지속에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도 피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종 제외 16개 모든 시도에서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듭니다.

특히 울산은 81만 명에서 41만 명으로 40만 명(49.9%) 감소해 생산연령인구가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울산은 2015년부터 조선업 침체 등의 영향으로 젊은 층 인구가 유출되고 있습니다.

경남(-47.8%), 부산(-47.1%), 대구(-46.9%), 경북(-45.0%) 등 총 8개 시도에서 생산연령인구가 40% 이상 감소합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모든 시도에서 늘어납니다.

2052년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49.6%)과 경북(49.4%) 순으로 50%에 육박했습니다.

전체 인구의 절반이 고령인구가 된다는 것입니다.

경남(47.8%), 강원(47.1%), 전북(46.9%), 울산(43.7%), 충남(43.7%) 등 총 11개 시도에서 고령인구 비중이 40%를 넘습니다.

세종의 고령 인구는 2022년 4천 명에서 2052년 1만6천 명으로 3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경기(165.8%), 인천(157.9%), 제주(137.2%), 울산(129.0%) 등 총 11개 시도에서 고령 인구가 2배 이상 늘어납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유소년 인구(0∼14세)는 모든 시도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경남(-57.8%), 전남(-52.0%), 경북(-51.8%) 등 3개 시도는 50% 이상 유소년 인구가 줄어듭니다.

유소년 인구 비중은 17개 시도 중 세종(12.0%)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10%를 밑돌았습니다.

학령인구(6∼21세)도 같은 기간 울산(-59.3%), 경남(-58.7%), 경북(-54.8%) 등 7개 시도에서 50% 이상 감소합니다.

저출생·고령화에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52년 모든 시도에서 1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2022년에는 세종(51.7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100명을 넘었는데, 2052년에는 세종도 244.8명으로 높아집니다.

특히 경북(793.7명), 전남(783.3명), 전북(690.9명), 강원(659.5명) 등 10개 시도는 노령화지수가 500명을 넘었습니다.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의 5배에 달하는 시도가 10곳이라는 의미입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유소년·고령인구인 총부양비는 2052년 전남(127.0명), 경북(125.4명), 경남(118.9명) 등 10개 시도에서 100명을 넘어섭니다.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더 많아진다는 것입니다.

중위연령은 2052년 전남(64.7세), 경북(64.6세), 경남(63.5세), 강원(63.0세) 등 9개 시도에서 60세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