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례 없는 흥행 돌풍의 벌써 '레전드'…그런데 프로 되니까 수익 증발했다? [스프]

[뉴스페퍼민트] (글 :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 송인근 뉴스페퍼민트 편집장)
 

0529 뉴욕타임스 해설
미국은 다들 아시다시피 프로 스포츠의 천국입니다. 스포츠 산업의 규모는 다른 나라와 비교가 안 될 만큼 압도적으로 크고, 주요 종목에서 최고의 선수들이 소속된 구단은 대개 미국 리그에 있습니다. 재밌는 건 미국의 프로스포츠 리그들이 자본주의의 속성과 공산주의의 속성을  절묘하게 결합해 놓았다는 점입니다. 이는 미국 다음으로 규모가 큰 스포츠 리그인  유럽의 축구 리그들과 비교해 보면 더 선명하게 드러납니다.

자본주의, 공산주의 속성을 한두 문장으로 정리하기란 쉽지 않지만, 그래도 거칠게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미국에서 프로 구단을 경영하는 일은 철저히 "돈을 벌기 위한" 일입니다. 돈이 다는 아닐지 몰라도, 돈을 벌지 못하면 금방 도태될 겁니다. 그래서 스포츠 구단은 뭐든 비쌉니다. 경기를 "직관"할 때 푯값도 비싸고, 방송사나 스트리밍 서비스와 맺는 중계권료는 매번 계약을 갱신할 때마다 천정부지로 치솟습니다. 그런데도 입찰은 매번 치열하고, 그렇게 따낸 중계권료를 감당하기 위해 기업들에서 받는 광고비도 덩달아 비싸지지만, 광고주들은 줄을 섰습니다.

이렇게 "돈이면 다 되는" 자본주의 속성으로 무장한 스포츠 리그지만, "돈이 아무리 많아도 함부로 못 하게" 해둔 게 또 상당히 많습니다. 스포츠 팬이라면 이미 다 아실 제도들을 예로 들어볼까요?

선수들의 연봉에 상한을 두는 샐러리캡이 대표적입니다. 돈이 아무리 많아도 비싼 선수를 마구 사 모으면 어떤 식으로든 제재를 받습니다. 신인 드래프트 제도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럽 축구에서는 지난 시즌에 성적이 안 좋은 팀들은 하부 리그로 강등됩니다. 보통 심각한 재정적 타격을 받죠. 미국 리그에서는 지난 시즌 성적이 안 좋으면 반대로 올해 더 좋은 선수 자원으로 진용을 새로 꾸려 반등할 수 있게 상위권 팀들이 양보해 줍니다. 시즌 중에는 경쟁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다같이 잘 되는 게 중요한, 한 리그에 속한 가족 같은 프랜차이즈이기 때문입니다. "피도 눈물도 없는 경쟁" 같은 자본주의를 수식하는 말이 참으로 어울리지 않는 제도입니다.

미국 프로스포츠 중에도 압도적으로 인기가 많은 미식축구리그 NFL은 중계권료 계약을 구단이 단독으로 맺지 못합니다. 리그 차원에서 받은 중계권료는 어떻게 배분할까요? 정확히 32로 나눠서 모든 구단에 동등하게 지급합니다. 이른바 빅마켓, 스몰마켓 팀이 엄연히 있지만, 그렇게 중계권료를 동등하게 '배급'하는 걸 공산주의적이라고 부른다면 너무할까요? 적어도 자본주의 속성만으로는 미국 프로 스포츠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미국은 소위 선진국 가운데  노동조합 조직률이 가장 낮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주요 프로스포츠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은 대개  선수 노조에 속해 있습니다. 이른바 "연봉 대박"을 터뜨리는 슈퍼스타들도 즐비하지만, 단체협약을 통해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의 최저임금이나 다양한 복지를 보장하는 점은 이색적입니다.

미국 스포츠에서 또 하나 독특한 제도가 있다면, 바로 전체 스포츠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대학 스포츠의 존재입니다. 전미대학체육협회(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를 뜻하는 약자 NCAA는 스포츠를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낯선 용어가 아닙니다. NCAA는 단지 프로스포츠 선수를 꿈꾸는 유망주들의 등용문에 그치지 않고, 그 자체로 대단히 인기가 많고 규모도 매우 큰 스포츠 리그입니다. 특히 프로 구단은 미국 전역에 리그별로 30여 개 있는 게 보통인데, 대학은 (몇 단계 디비전이 있지만) 보통 200개 가까운 팀이 경쟁하며, 동문이 소속감을 찾는 대단히 큰 구심점 역할을 해서 또 중요합니다.

NCAA는 대학생 선수들을 아직 돈을 버는 프로 선수이기 전에 학생 신분임을 강조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NCAA와 대학들이 스포츠팀을 통해 버는 막대한 수익을 선수들에게 지급하지 않는 게 부당하다는 소송도 있었습니다. 법원은 대학들이 선수들에게 무려 280억 달러를 보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미국 프로 스포츠의 특징에 관해 잔뜩 살펴본 이유는 올해 어쩌면 미국 프로 스포츠에서 '가장 중요한 현상'이라 불러도 과언이 아닌 케이틀린 클라크를 둘러싼 이야기가 위에서 소개한 여러 특징과 다 조금씩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학사 일정이 가을에 시작해서 매년 이맘때인 5월 말이면 끝나죠. NCAA도 대부분 종목이 봄에 플레이오프나 결승을 치릅니다. NCAA 가운데 가장 인기가 많은 종목은 농구인데, 농구 플레이오프를 일컫는 "3월의 광란(March Madness)"에서 올해는 남자부 못지않게, 아니 어쩌면 남자부보다도 여자부가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아이오와 주립대학교 졸업반의 에이스 슈터 케이틀린 클라크 때문이었습니다.

어려서부터 "차원이 다른 선수"로 주목받던 클라크는 자신이 나고 자란 고향 팀인 아이오와 대학교에 입학해 1학년 때부터 주전을 꿰차며 농구계를 평정했습니다. 이미 첫 해 리그 전체 득점 1위를 차지했죠. 3점슛 라인에서 멀찌감치 떨어진 데서 높은 정확도로 슛을 던져서 수비수를 곤혹스럽게 하는 선수들은 남자 농구에서는 많이 나왔지만, 여자 선수 중에는 클라크가 독보적입니다. (아이오와 대학교의 팀 이름이 매의 눈을 뜻하는 호크아이(Hawkeye)고, 홈구장 가운데는 커다란 매의 얼굴이 그려져 있는데, 매의 부리(beak) 부분에서 3점슛을 꽂아 넣는 건 클라크의  트레이드 마크와도 같습니다.)

심지어 어렸을 땐 개인 기량만 뛰어난 선수였는데, 팀 플레이와 리더십을 몸에 익힌 뒤에는 20대 초반의 나이에 이미 위대한 선수 반열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아이오와 대학교가 좋은 팀이긴 하지만, 매년 우승을 다툴 만한 강호는 아니었는데, 클라크는 2년 연속 팀을 기어이 결승에 올려놓았습니다.

작년에는 루이지애나 주립대(LSU)에 막혀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고, 올해도 무패 가도를 달리던 사우스 캐롤라이나대학교에 끝내 패하며 클라크의 "라스트 댄스"는 우승이란 결실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도 클라크는 여자 대학농구 역사상 전례가 없는 흥행 열풍을 일으켰습니다. 모두의 관심은 여자 대학농구 열풍을 여자 농구 전반으로 이어갈 수 있을지로 이어졌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