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D리포트] 바닷속에서 나온 쓰레기 120톤…단속은 '유명무실'

제주도 인근 바다입니다.

도르래로 밧줄을 당기자 집채만 한 그물 더미가 끌려 올라옵니다.

40m 길이의 운반선이 금세 쓰레기장으로 변합니다.

[임정훈/대형기선저인망수협 조합장 : 약하다 보니까, 유자망 그물이. 찢어지면 가져와서 육지에다 다시 갖다 주는 것보다 중국산 새 그물을 펼치는 게 더 저렴하기 때문에 계속 버려지지 않느냐….]

육지에 도착한 운반선에선 폐그물에 걸린 물고기가 썩어 악취가 진동합니다.

양이 너무 많아 수거 차량으로 옮기는 데만 1시간이 걸렸습니다.

이번에 끌어올린 해양 쓰레기는 120톤에 달합니다.

어민들이 버린 어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전체의 90%에 달합니다.

버려지는 어구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어구 실명제가 시행됐습니다.

어구에 주인 이름을 적는 건데, 바다에선 감시가 힘들다 보니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이어집니다.

어구 실명제 위반 단속은 1년 동안 54건에 불과할 정도로 지지부진합니다.

해양 쓰레기 수거량도 오히려 더 많아졌습니다.

폐어구가 배 스크루에 감기는 등의 사고도 늘었습니다.

[수거선 선장 : 어구실명제를 하면 가져간 것을 다 가져왔다고 하면 그만이지 않습니까? 킬로그램 수를 재면 되죠. (헌 그물을) 가져다주면 (새) 그물을 가져갈 수 있는. 페널티제를 해서 안 가져오면 그물 값을 세금으로 물려서 청소하는 데 (써야 합니다.)]

어구를 살 때 돈을 내고 반납 때 돌려받는 보증금제가 있지만, 해양 쓰레기 대부분을 차지하는 그물 등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어선이 해양 쓰레기를 수거해 오면 돈을 주는 수매 제도의 1년 예산이 4개월 만에 바닥난 가운데, 해양 오염을 줄이기 위한 더 많은 지원과 감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취재 : 하영광 KNN, 영상취재 : 권용국 KNN,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