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그 사람이 떠오른다, 나도 그럴까…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 [북적북적]

그 사람이 떠오른다, 나도 그럴까…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 [북적북적]

[골룸] 북적북적 418: 그 사람이 떠오른다, 나도 그럴까…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
"설희는 빈 카트를 내려다보며 앞날을 그렸다. 발음하기 어려운 테트로도톡신의 위험이 있는 곳에서 일하느니 화를 뿜어내는 사람을 상대하는 게 안전할지 모르지. 위험은 피하는 게 상책이었다. 설희는 복어 독으로 사망에 이른 사고들을 곱씹으며 더 이상 직장에서 사람들에게 휘둘려 누명을 쓰는 일은 없을 거라고 마음을 다잡았다. 그러다 잠깐 자신을 구석으로 몬 사람들에게 테트로도톡신을 먹인다면 어떨까 하는 공상에 빠졌다."

5월 들어서 주중 휴일이 하루씩 있는 주도 있었죠. 그렇지 않았던 이번 주는 닷새 연속 일하는 게 더욱 길게 느껴집니다. 역시 먹고사는 건 쉽지 않구나 새삼 느껴지는 요즘,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당대의 현실에 대해 문제의식이 있는 작가들이 각자 소설을 썼습니다. '월급사실주의'라는 이름으로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소설집을 펴냈습니다.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입니다.

2023년에 나온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를 북적북적에서 읽었죠. 당시 모임을 주도했던 장강명 작가는 이런 문제의식과 규칙을 담은 글을 실었는데 이번에도 유효하다 합니다.
월급사실주의라는 이름은 다분히 1950~1960년대 영국의 싱크대 사실주의를 의식했다. 지난해 동인 참여를 제안하면서 작가분들께 미리 말씀드린 문제의식과 규칙은 있다. 문제의식은 '평범한 사람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사실적으로 그리는 한국소설이 드물다. 우리 시대 노동 현장을 담은 작품이 더 나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규칙은 이러했다.

1. 한국사회의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는다. 비정규직 근무, 자영업 운영, 플랫폼 노동, 프리랜서 노동은 물론, 가사, 구직, 학습도 우리 시대의 노동이다.
2. 당대 현장을 다룬다. 수십 년 전이나 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 여기'를 쓴다. 발표 시점에서 오 년 이내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다.
3. 발품을 팔아 사실적으로 쓴다. 판타지를 쓰지 않는다.

2023년 버전엔 삼각김밥 공장노동자, 학습지 교사, 군무원, 중소기업 직원, 현장소장, 여행사 직원, 기자, 세입자, 배달라이더, 한국어교사, 통번역가, 기간제교사가 등장했습니다. 이번에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공부방 운영자, 식당종업원, 화장품회사 영업사원, 간호조무사, 물류알바, 비건식당 매니저가 각 편에 등장합니다. 말 그대로 8인 8색이라는 말이 어울립니다. 공통점은 당대의 현장을 다룬 생생함입니다.

어떻게 정리해야 할까 잠시 궁리해 봤습니다. 소설집의 제목처럼 '인성'을 떠올렸습니다. 우리는 직장에서, 일터에서 각자의 기술과 숙련된 지식, 노하우와 경험 등을 토대로 업무를 하면서 몇 가지 숫자로 정리됩니다. 하루 8시간 노동, 주 52시간 이내 근무, 월급은 000만 원, 00차, 상반기 근무평점은 00, 초과근무시간은 00시간 등등. 함께 일하는 사람도 어느 부서에 몇 명, 원 대비 아웃풋이 몇이라든가…

그러면서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니 인화, 화합, 소통, 상호존중 등이 중요하다고도 합니다. 리더십, 팔로십, 팀워크 등을 말하는 이유도 그래서겠고요.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데서 비극이 싹튼다는 식의 묘사가 꽤 있는데 그러면서도 그렇지 않은 묘한 자리가 일터 같습니다.
"성의와 의리와 잔정의 크기가 모두 돈으로 환산 가능한 시절이 아닌가. 물론 그렇지 않은 관계도 있을 터였으나 슬프게도 혜심에겐 그런 관계가 그다지 남아 있지 않았다. 문득 그런 생각이 스치고 사막의 밤 같은 외로움이 몰려올 때면 혜심은 기를 써서 그 감정을 떨치고 막아냈다. 외로움만큼은 돈으로 메워지지 않는 감정이라는 걸 알아서였다." - 손원평 <피아노>에서
"사람을 거래하는 거라면… 모델 사진에 집중한 그들을 지켜보던 설희는 불현듯 떠오르는 시나리오에 머리가 뜨거워졌다. 또다시 범죄에 연루되어 하지 않은 잘못으로 피해를 보게 되는 건가. 이 상황을 어떻게 벗어나야 하나. 몇 달 전처럼 경찰서에서 자신을 범인으로 몰아 호출할까. 모든 걸 몰랐다고 부정하면 어떤 대가를 치르게 될까. 또 구석에 몰렸다는 생각에 설희는 혼란스러워 가슴이 답답했다." - 이정연 <등대>에서
"진영은 그동안 숱한 사람을 만나오며 그들이 좋아할 만한 말과 돌아오는 반응을 축적해 왔다. 그리고 어떤 말은 여러 번 되풀이했다. 하지만 그렇게 오랫동안 반복해 온 말과 표현과는 상반되는 순간들을 마주칠 때가 더러 있었다. 가족 말이 맞아요. 가족 말씀 들으세요, 같은 말들이 엮어서 구획하고 포괄하는 영역의 먼 바깥. 저도 그랬어요,라고 공감할 수도 없는 그냥 선영의 삶." - 임현석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에서

대개는 자기 일 아니면 어렴풋이 알거나 애써 알려하지 않습니다. 자기 입장이 중요하고 자기 일과 자신의 이익이 가장 중요합니다. 인성이 좋은 사람보다는 인성이 좋아 보이는 사람을 더 선호합니다. 제가 몰랐던 세상에 대해 어떤 이해와 함께 '인성에 비해 잘 풀린 사람들'이 떠오르고 그동안 제가 인성 좋아 보이려고 해 왔던 것들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됐습니다.

*출판사 문학동네로부터 낭독 허가를 받았습니다.

▶ <골룸: 골라듣는 뉴스룸> 팟캐스트는 '팟빵', '네이버 오디오클립', '애플 팟캐스트'에서도 들을 수 있습니다.
- '팟빵' 접속하기
- '네이버 오디오클립' 접속하기
- '애플 팟캐스트'로 접속하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