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바이든 가짜 전화' 벌금 82억…딥페이크 옥죄기

<앵커>

올해 초 미국에서 인공지능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목소리를 만들어낸 가짜 전화가 유권자들에게 걸려와서 큰 논란이 됐습니다. 미국 당국이 이 가짜 메시지를 만든 사람에게 우리 돈으로 80억 원이 넘는 벌금을 물렸습니다.

워싱턴 남승모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기자>

바이든 미 대통령이 성 소수자를 향해 폭언을 쏟아냅니다.

[조 바이든/미국 대통령 (가짜 영상) : (성전환한) 당신은 결코 진정한 여자가 될 수 없습니다. 당신은 여성으로서 아이를 갖는 데 필요한 신체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 AI로 만든 딥페이크, 가짜 영상입니다.

지난 1월 뉴햄프셔 주 경선 직전에는 유권자들에게 이런 전화메시지가 걸려왔습니다.

[바이든 미 대통령 음성 위조 전화 :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11월 대선을 위해 당신의 표를 아끼는 게 중요합니다.]

'말도 안 되는 소리란' 바이든 대통령의 말투까지 흉내냈지만 이 역시 AI로 만든 가짜 목소리입니다.

뉴햄프셔 주 검찰은 이 가짜 전화메시지를 만든 정치 컨설턴트 스티브 크레이머를 투표 방해 등 26개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형사 처벌과는 별개로 미 연방통신위원회는 크레이머에게 82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벌금도 부과했습니다.

미 당국이 AI 기술 활용과 관련해 벌금을 부과한 첫 사례입니다.

또 가짜 메시지를 주민들에게 수천 통 전송한 통신사에도 27억 원가량의 벌금을 매겼습니다.

선거 국면에서 AI를 활용한 허위 정보가 판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철퇴를 가한 겁니다.

크레이머는 선거 개입 의도는 없었으며, 딥페이크 규제를 촉구하기 위해 벌인 일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연방통신위는 정치 광고에 AI를 사용할 경우 이를 명시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딥페이크 음란물 차단 조치도 내놨습니다.

백악관은 AI 개발자와 금융기관 등에 딥페이크 음란물로 수익을 내지 못하도록 조치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김종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