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인촌 "세종대왕 동상 뒤 광화문 한자 현판?…한글날 기점 한글화 논의"

유인촌 "세종대왕 동상 뒤 광화문 한자 현판?…한글날 기점 한글화 논의"
▲ 23일 열린 '문체부 정책 현안 브리핑'에서 발언하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경복궁의 광화문 현판 한글화 논의와 관련해 "한글날을 기점으로 뭔가 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유 장관은 오늘(23일) 오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문체부 정책 현안 브리핑'에서 "세종대왕 동상이 경복궁 앞에 있는데 그 뒤에 한자로 쓰인 현판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유 장관은 지난 14일 세종 탄신 하례연에서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바꾸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검정 바탕에 금색 글자로 쓰인 지금의 한자 현판은 지난해 10월, 중요한 건물에 넓게 설치한 대를 뜻하는 월대(越臺, 月臺)와 함께 복원됐습니다.

새 현판은 경복궁 중건 당시 훈련대장이자 영건도감 제조를 겸한 임태영의 글씨를 복원한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한글운동 관련 단체들은 한글 현판을 걸어야 한다고 요구해왔습니다.

유 장관은 사견을 전제로 "지난해 10월 복원한 현판이 조선시대부터 있던 것이면 보존하는 게 좋지만, 새로 만들어 단 것이니 고증으로 만든 것은 박물관에 전시하고 한글로 다시 거는 게 좋지 않을까"라며 "한글학회는 훈민정음 해례본에 있는 글씨로 준비해놨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