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미 무기로 러 본토 타격 허용하나…바이든 행정부서 논쟁

미 무기로 러 본토 타격 허용하나…바이든 행정부서 논쟁
▲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행정부 내에서도 이와 관련한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습니다.

NYT에 따르면 지난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이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이후 우크라이나가 미국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이 논쟁이 본격화됐습니다.

그동안 미국과 서방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하되 러시아 영토 내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는 사용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서방의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경우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직접 충돌로 확전 될 가능성을 우려한 데 따른 것입니다.

NYT는 그러나 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블링컨 장관의 입장에도 변화가 있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이 미국이 지원하지 않은 무기로만 대응 사격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국경 바로 건너편에 무기를 배치하고 하르키우를 타격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수개월 동안 러시아 선박과 정유시설, 발전소 등을 공격해 왔지만 미국산만큼 강력하지 않은 우크라이나산 무기만을 사용해야 했고 러시아는 이런 약점을 이용해 드론과 미사일을 격추해 왔고 NYT는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미국산 무기로 러시아 군사기지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 15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러시아 본토 공격과 관련해 "궁극적으로 우크라이나가 자국을 위해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며 무기 사용 제한이 완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전쟁 전략과 관련해서는 대부분 미국과 보조를 맞춰온 영국도 최근 자국이 제공한 무기로 러시아 본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제한을 해제한 바 있습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외무장관은 키이우를 찾아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반격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군을 지금처럼 독일로 보내는 대신 자국 내에서 훈련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점도 본토 타격을 금지 입장 철회에 힘을 실을 수 있다고 NYT는 분석했습니다.

이 경우 우크라이나군 훈련을 돕기 위해 미군을 현지에 배치해야 하는데, 주둔지로 거론되는 르비우가 러시아군의 주기적인 공격을 받아온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NYT는 우크라이나군 훈련을 돕기 위해 건너간 미군이 공격받을 경우 미국 정부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논란이 일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도 최근 입장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NYT에 따르면 오스틴 장관은 미국이 제공한 무기는 우크라이나 내부 목표물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하면서도 항공작전에서는 예외를 적용할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풍겼습니다.

빅토리아 눌런드 전 미 국무부 정무 담당 차관은 아예 공개적으로 러시아 본토 타격 금지 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눌런드 차관은 지난 19일 ABC 방송에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내부 기지를 타격하는데 더 많은 도움을 줘야 한다"며 "공정한 게임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NYT는 다만 블링컨 장관의 이런 견해가 아직 공식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에게 전달되지는 않았으며, 행정부 내에서 얼마나 지지받을 수 있을지도 미지수라고 언급했습니다.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관련 정책을 내부에서 검토하고 있는지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습니다.

NYT는 바이든 대통령과 그 측근들은 아직 정책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고도 언급했습니다.

지난 몇 년간 바이든 행정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더 이상 자극하지 않도록 넘지 말아야 할 '레드라인'이 있다고 해왔지만, 그 레드라인이 정확히 무엇인지, 만일 선을 넘었을 경우 어떤 반격이 예상되는지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아 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