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2.1→2.5%…"수출 회복·소비 개선"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2.1→2.5%…"수출 회복·소비 개선"
▲ 금융통화위원회 주재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이 수출 호조에 따라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2.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한은은 오늘(23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2.5%를 제시했습니다.

지난 2월 전망보다 0.4%포인트(p) 높였습니다.

한은은 지난 1분기 성장률(전분기 대비)이 기존 시장 전망치인 0.6~0.7%를 크게 뛰어넘는 1.3%로 집계됨에 따라 연간 전망을 수정했습니다.

한은은 "올해 중 국내 경제는 수출의 회복 모멘텀이 강화된 데다 소비 흐름도 당초 예상보다 개선됨에 따라 2월 전망을 상당폭 웃도는 2.5% 성장할 전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오늘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IT(정보기술) 경기 호조와 미국 경제의 강한 성장세 등 대외 요인이 성장률 전망치를 0.3%포인트(p) 상향 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내수 부진 완화 등 대내 요인은 0.1%p 높이는 요인이었다"고 부연했습니다.

앞서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2년 11월(2.3%) 이후 지난해 2월(2.4%), 5월(2.3%), 8월(2.2%), 11월(2.1%) 등으로 수정해 왔습니다.

한은 전망치 2.5%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2.3%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2.6%보다 낮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2.5%와는 같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IB)과 비교하면 골드만삭스(2.4%)보다 높고, JP모건, 씨티, 노무라 등의 2.6%나 HSBC의 2.7%보다는 낮은 전망치입니다.

금융통화위원회 주재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한은의 경제전망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1.8%, 건설투자 증가율은 -2.0%로 각각 예상됐습니다.

지난 2월 전망보다 민간소비는 0.2%p, 건설투자는 0.6%p 각각 높아졌습니다.

반면에 설비투자는 4.2%에서 3.5%로 0.7%p 낮아졌습니다.

아울러 재화수출은 4.5%에서 5.1%로 상향 조정되고, 재화수입은 2.7%에서 2.4%로 상향 조정되는 등 순수출 증가세가 예상됐습니다.

한은은 "수출을 중심으로 회복세가 보다 뚜렷해지고, 소비 등 내수도 점차 나아질 것"이라고 재차 요약했습니다.

한은은 올해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26만 명으로 당초 예상(25만 명)보다 커질 것으로 봤습니다.

실업률 전망치는 2.9%로 유지했습니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연간 600억 달러로 전망했습니다.

지난 2월 전망(520억 달러)보다 80억 달러 상향 조정한 결과입니다.

다만, 한은은 "1분기의 경우 성장 모멘텀이 강화됐으나, 일시적인 요인의 영향도 있어 2분기 조정 국면이 예상된다"고 언급했습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3%에서 2.1%로 0.2%p 하향 조정했습니다.

올해 전망치 상향 조정의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할 것으로 본 결과입니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2.6%로 유지했습니다.

성장률 개선 등으로 물가 상방 압력이 커졌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을 고려할 때 연간 전망을 조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올해 들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8%를 기록한 뒤 2~3월 연속으로 3.1%까지 올랐다가 4월 다시 2.9%로 하락한 상황입니다.

이 총재는 "하반기 월평균 전망치를 2.3%에서 2.4%로 변경했다"며 "연간 전망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상향 조정했는데, 첫째 자리를 변경해 전망 자체를 바꿀 정도로는 크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은은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2.1%로 유지했습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