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막뉴스] "그분들 직구 해본 적은 있나"…원조 직구족들 '부글부글'

경기도 부천에 사는 30대 직장인 A 씨는 7년 전부터 아이 장난감, 옷, 영양제 등을 모두 해외 직구로 구매합니다.

[A 씨/30대 직장인 (해외 직구족) : 우리나라에서 사려면 몇 배 이상 돈을 주고 구해야 되고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서 직구하는 게 더 낫더라고요.]

A 씨처럼 오래전부터 해외 직구를 경험한 이른바 '원조' 직구족들은, 검증된 주요 브랜드 제품을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해 왔습니다.

직구족 성

격에 변화가 생긴건 알리 테무의 공습 이후, '초저가'에 '빠른 배송', 직구족 규모는 폭발적으로 급증했습니다.

7조 원 규모인 직구 시장은, 이제 일상에서 없으면 안되는 수준이 된 상황.

신생 중국 이커머스를 타겟으로 한 금지 일변도 규제에 원조 직구족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A 씨/30대 직장인 (해외 직구족) : 정책 내신 분들이 진짜 통관 번호라도 있으신 분들인지, 한 번이라도 직구를 해보시는 건지 궁금하긴 해요.]

유해물질이 검출된 어린이 용품 등에 대한 우려가 큰 것은 사실인 만큼, 먼저 위해 제품만 선별적으로 차단하는 실효성있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실제 알리 테무 판매 장난감에서 발암물질이 발견되자, 지난달 관련 카드 결제는 40% 이상 빠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재경/중국 이커머스 이용자 : 건강에 대한 게 너무 우려가 돼서 가격을 좀 더 주더라도 그냥 한국에서 인증받은 제품을 구매하는 게 좋지 않나라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 [정연승/단국대 경영학과 교수 : 자기들이 플랫폼을 통해서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책임을 좀 강하게 질 수 있도록 해서 자체 정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피해가 난 거에 대해서는 좀 구체적인 규제나 패널티를 줄 수 있잖아요.

] 소비자 보호 자율 협약은 말 뿐, 알리 테무엔 여전히 판매자 정보를 알수 없는 경우가 많아 단속도 강화해야 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