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유아 수족구 환자, 3주 새 2배 급증…"손 씻기 중요"

영유아 수족구 환자, 3주 새 2배 급증…"손 씻기 중요"
손발이나 입에 물집성 발진이 생기며 주로 영유아를 괴롭히는 수족구병의 환자수가 3주 사이 2배 가까이 늘어 방역 당국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오늘(2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5월 2주 차 수족구병 의사환자(감염확인환자+의심환자) 천분율은 8.4명으로 4월 3주 차 4.4명보다 90.9% 증가했습니다.

수족구병은 발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등 장바이러스를 통해 감염되며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이 특징적 증상입니다.

5세 이하 영유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5월 환자수가 늘어 6~9월 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족구병에 걸리면 처음 2~3일 동안 발열, 식욕부진, 인후통, 무력감 등의 증상이 시작하고 발열 후 수포성 발진이 나타납니다.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하지만, 신경계 합병증,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 합병증이 생기면 위험할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발병하면 음식물을 삼키지 못해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니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감염력이 상당히 강해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을 통해 감염되거나 피부의 물집에 직접 접촉해 옮기도 합니다.

환자가 만진 물건을 만졌다 전염되는 경우도 많아 어린이집, 유치원, 놀이터 등 영유아가 모이는 곳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손잡이 등 손이 닿는 집기의 소독관리를 철저히 하고, 영유아가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손 씻기 등 개인 예방 수칙을 잘 지키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증상이 발생하면 회복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해야 합니다.

방역당국은 발병 후 1주일간 등원과 외출을 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족구병 예방을 위해서는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특히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예방을 위해 손 씻기 지도, 물품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수족구병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