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대생 수업 거부' 무대책…휴학 인정하나

<앵커>

의대생들의 수업거부가 계속되는 가운데 연세대 의대가 처음으로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승인할 뜻을 내비쳤습니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 장관은 의대 학생단체들에게 대화를 공개 제안했습니다.

박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은직 연세대 의과대학 학장이 전체 교수회를 진행한 뒤 교수들에게 보낸 서신입니다 .

돌아오지 않는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할 수밖에 없단 결정을 내렸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진취적인 선택에 힘을 보태달라고도 언급했지만, 연세대측은 최종 결정은 아니라고 사태 진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동맹 휴학을 이유로 한 휴학 승인을 인정할 수 없단 정부 방침과 다른 결정이라 뒤따르는 대학은 눈에 띄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집단 수업 거부 중인 학생들을 복귀시킬 뾰족한 수가 없는 건 다른 대학들도 마찬가집니다.

[성혜영/대한의사협회 대변인 : (정부는) 어떻게 교육을 하실 것인지, 그 대책을 고민을 해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정부는 왜 무작정 교육의 붕괴를 일으킬 만한 이러한 거대한 사건을….]

이에 교육부 장관이 직접 나서서 의대 학생단체들에 대화를 공개 제안했습니다.

[이주호/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의대생들을 직접 만나서 정부 정책에 대해서 좀 소상하게 이야기를 해주면 또 많은 오해가 풀릴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의대생들은 교육부 대화 제의가 진실되게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거절했습니다.

정부와 의료계 설전 공방도 이어졌습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들에게 처분이 불가피하다"고 압박하는 동시에, 대법관 자리 회유 발언을 한 임현택 의사협회장에 대해 의협을 감독하는 복지부 입장에서 적절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의협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의료농단 사태에 책임 있는 박 차관의 의협을 모욕하는 부적절한 발언이라며 차관을 처벌하라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균종, 영상편집 : 김호진, 디자인 : 손호석·방명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