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령법인으로 가전제품 빌리곤 중고로 팔아치워 26억 꿀꺽

유령법인으로 가전제품 빌리곤 중고로 팔아치워 26억 꿀꺽
▲ '렌털깡' 사기 범행 체계도

유령법인을 연달아 세워 가전제품을 대거 임대하고는 중고거래 사이트에 팔아넘긴 일당이 줄줄이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서울경찰청 형사기동대는 3개 '렌털깡' 조직 44명을 사기 등 혐의로 검거하고 그중 5명을 구속했다고 오늘(21일) 밝혔습니다.

경찰은 유령법인에 명의를 빌려준 23명도 입건해 수사 중입니다.

이들 조직은 각각 별도로 활동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이들은 2017년 10월∼2022년 9월 각각 대구와 충남 천안, 인천에서 유령법인 명의로 렌털 제품을 허위로 임대 계약한 뒤 이를 처분해 렌털 업체들에 920차례에 걸쳐 약 26억 원의 피해를 준 혐의를 받습니다.

대구 총책 A 씨가 속한 조직은 18억 원을, 인천과 천안 조직은 각각 5억 원과 3억 원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은 법인 명의로 빌린 제품들의 회수가 원활하지 않다는 점을 노렸습니다.

냉장고, 안마의자, 비데 등 고가의 여러 렌털 제품을 대량으로 빌린 뒤 제품을 재포장해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정상가에서 절반 정도의 가격에 되팔았습니다.

유령법인을 차리기 위해 필요한 명의는 급전이 필요하지만 금융기관을 통해 대출받지 못하는 이른바 '내구제 대출' 희망자를 모집해 30만∼50만 원을 주고 채웠습니다.

내구제 대출이란 '나 스스로를 구제한다'는 의미로, 저신용자가 휴대전화나 가전제품의 명의를 넘기고 물건값의 일부를 대가로 받는 것을 말합니다.

제품을 판매한 뒤에는 범행에 이용한 법인을 해산하고 다른 법인을 세워 범행을 이어갔습니다.

이들은 이런 방식으로 100여 개의 유령법인을 세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들은 제품을 팔아치우기 전에 부착된 일련번호 바코드 스티커를 미리 제거했습니다.

또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제품을 사는 이들의 의심을 피하고자 유명 렌털업체의 설치 기사 유니폼을 입고 제품을 직접 배달해주기도 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중고 거래 사이트에서 신제품을 시세보다 30% 이상 저렴하게 파는 제품은 내구제 대출과 관련 있다고 볼 수 있다"면서 "이런 제품들은 바코드가 없기 때문에 애프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렌털 제품이 판매된 게 확인된 후에는 계약 잔금 떠안거나 제품을 강제 반납하게 될 수 있다"며 소비자들의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사진=서울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