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기 전망 어두워도 반도체는 '장밋빛'…수출도 긍정 전환

경기 전망 어두워도 반도체는 '장밋빛'…수출도 긍정 전환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이지만, 국내 주요 산업인 반도체 경기 전망은 호전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BSI 전망치가 95.5를 기록했다고 오늘(21일) 밝혔습니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 이후 27개월 연속 100을 하회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95.9)과 비제조업(95.2)이 함께 부진했습니다.

제조업 BSI는 올해 3월(100.5) 기준선 100을 초과한 이후 석 달 연속 기준선 아래에서 머물렀습니다.

비제조업 BSI는 전월(94.1)보다 1.1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 이하를 기록했습니다.

비제조업 BSI 부진은 올해 1월부터 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는 여름 특수가 기대되는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07.7)과 반도체 특수에 따른 전자 및 통신장비(105.9)가 호조 전망을 보였습니다.

특히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장비가 기준선 100을 돌파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입니다.

한경협은 이와 관련, 글로벌 수요 증가로 반도체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업종의 기업 심리가 개선됐다고 풀이했습니다.

기준선 100에 걸친 3개 업종(목재·가구 및 종이, 의약품, 식음료 및 담배)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업종은 업황 부진이 전망됐습니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에서는 방학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운수 및 창고(115.4)와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 서비스(115.4)의 업황 개선이 예상됐습니다.

부문별 전망치를 살펴보면 수출(101.0)이 중동 정세의 완화와 반도체 호조 등으로 긍정적 전망으로 전환됐습니다.

수출이 기준선 100을 상회한 것은 2022년 4월(97.4) 이후 27개월 만입니다.

수출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들은 부정적 전망이 이어졌습니다.

자금 사정(94.0), 투자(95.8), 채산성(96.3), 내수(95.5), 고용(96.9), 재고(102.6) 등 모든 부문에서 전망은 어두웠습니다.

재고는 기준선 100을 넘으면 재고 과잉을 의미합니다.

올해 5월 BSI 실적치는 96.9로, 전월(94.9) 대비 2.0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업들의 실적 악화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와 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반도체와 수출 업황 개선으로 경기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라며 "수출 호조가 실물경기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내수 촉진과 투자 지원책을 통해 기업 활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