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막뉴스] 이런 곳에 나랏돈이?…"오히려 좋아" 사람들 몰린다

파리 시내 한 수선업체입니다.

손님이 찾아와 조끼 안감에 난 구멍을 메우는 문제를 상담합니다.

[수선업체 직원 : 주머니 부분을 열고 안쪽에서 구멍을 꿰맬 거예요.]

선 비용은 12유로, 우리 돈 1만 8천 원 정도인데, 손님은 이 중 5유로만 부담합니다.

나머지 7유로는 정부 보조금으로 충당됩니다.

[니콜라/소비자 : 수선을 하면, 좋아하는 옷을 오래 입을 수 있고 경제적이기도 합니다.]

프랑스는 지난해 말부터 낡은 의류나 신발을 수선할 때 수선비의 최대 60%까지, 수선 항목당 6~25유로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한해 70만 톤에 달할 정도로 급증한 의류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정책입니다.

5년 동안 2천200억 원의 예산이 책정됐습니다.

[오드레/수선업체 매니저 : 보조금 제도 도입 이후 낡은 의류와 신발에 대한 수선 수요가 20% 정도 늘었고, 계속 증가 추세입니다.]

전자제품의 경우 지난 2022년부터 수리 보조금 제도가 시행 중입니다.

여기에 제품을 판매할 때 수리가 얼마나 쉬운지, 수리 가능 기간은 얼마인지 등을 수치화한 '수리용이성 지수' 표기도 의무화했습니다.

[장 파스칼/소비자 : ('수리용이성 지수'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제품 수명이 깁니다. 제품 구매 시 늘 확인합니다.]

프랑스 정부가 수리 정보 제공을 의무화하고 보조금까지 지원하는 건 상품을 오래 쓰는 게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 낭비를 막는 첫걸음이라는 인식 때문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