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일본이 '라인' 말고도 노리는 이것, 사도 광산이 뭐기에? [스프]

[딥빽]

김혜영 딥빽
일본 정부가 라인야후에 네이버와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고 행정지도를 내린 이른바 '라인야후 사태'의 여진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으로 인식되면서 국민적 반감은 악화일로로 치달았는데, 분야는 다르지만 일본 정부가 마치 한국에 보란 듯이 추진하고 있는, 우리가 경계해야 할 사안은 또 있습니다. 바로 사도 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시도입니다.
 

사도 광산과 일본의 '꼼수'

사도 광산은 과거 일제가 군국주의 침략전쟁에 활용했던, 조선인 강제동원의 현장입니다.

스프 딥빽 CG 사도광산 스프 딥빽 CG 사도광산
사도 광산은 일본 니가타현에 있습니다. 그리고 사도 광산 중에서도, 아이카와 금은산과 쓰루시 온산, 니시미카와 사금산 등 총 3곳을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일본 정부는 사도 광산의 이들 3곳이 유네스코로부터 인정받을 만한 수준의 '탁월하고 보편적인 가치(OUV)가 있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이러한 일본 정부의 희망사항에 대해 유네스코는 어떤 판단을 내릴지는 오는 7월 말에 결과가 공개됩니다.

스프 딥빽 CG 사도광산
일본 정부는 지난 2021년 등재 신청서를 기준으로 이렇게 주장한 바 있습니다. 사도 광산이,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관리된 금 생산 체제와 생산기술에 관한 광산 등이 유적으로 남아있고, 또 그림과 광산 지도도 존재해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금 생산 체계를 보여주는 물증이라는 것인데요.

스프 딥빽 CG 사도광산
문제는 일본 정부가 유산 등재를 신청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태평양전쟁 기간, 최소 1천519명의 조선인들이 강제 노역을 했다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사실은 빠뜨렸다는 점입니다. 그동안 수많은 사료로 입증된 조선인 강제동원의 서사만 쏙 제외한 채, 대상 시기를 16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로 한정하는 '꼼수'를 부린 겁니다.
 
정혜경ㅣ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미쓰비시 광업이 낸 책이 있는데 자기네가 명확히 1천519명이라고 딱 밝혀놨습니다. 그러니까 저희는 그거를 최소한의 숫자라고 보면 되고요. 피해자가 가지고 있는, 강제동원을 입증할 수 있는 수첩이라든가, (중략) 구술 목소리들이 있어요. (중략) (이 외에도) 자료들은 너무 많아서 (중략) '꼼짝 마라' 할 정도로 많아요.
 
마치 사도 광산에 조선인 강제동원의 역사가 없었다는 듯 왜곡에 나선 건데, 이는 역사 수정주의에 기반해 일제 군국주의 침략전쟁을 미화하려는 시도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황선익ㅣ국민대 한국역사학과 부교수
일본 정부는 히로시마 원폭을 세계유산화하면서 근현대 역사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상당히 집중하는 경향을 보여요. 역사 수정주의나 일본의 역사 피해론적 관점에서의 서사 같은 것들을 그 안에 녹이는 시도들이 거듭 나오고 있는 거죠. '역사든 정치든 그런 갈등 요소를 세계유산까지 갖고 오느냐'라고 하는 문제 제기도 상당히 큰 게 사실인 거죠, 지금.
 

한국 정부가 따져야 할 '허점'과 '현실'

한국은 물론 일본 내부에서조차 사도 광산을 두고 세계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인 가치(OUV)'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회의적인 의견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한국 정부가 바로 이 부분에서 논리적인 허점을 잘 짚어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언입니다.
 
정혜경ㅣ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유네스코가) 제대로 이것을 판단한다면 보류가 될 수밖에 없어요. 왜 그러냐 하면 탁월한 보편적인 가치에 부합되지가 않아요. 광산이나 갱은 시멘트칠하고 이래서 현장성이 없고요. 그다음에 최초의 사금을 캤다라고 하는 데가 니시미카와인데, 한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그냥 개울가예요. 그다음에 산업 유산은 노동자의 역사가 들어가야 돼요. 그런데 이곳은 홈리스나 아니면 죄수들을 동원했고, 그 이후에 조선인이 들어간 거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등재하는 대상지에 있냐, 그거 없거든요. 도대체 뭐가 탁월하냐라고 하는 거죠.
 
황선익ㅣ국민대 한국역사학과 부교수
일본의 사도 광산의 금, 은 생산량이 '확인'되는 것하고, 금, 은 생산량이 '세계적으로 최고 수준이었다'라고 얘기하는 것은 굉장히 다른 문제라고 하는 거죠. 그런데 일본 정부는 그걸 가지고 가치 평가를 했단 말이에요. 그게 객관적으로 입증 가능하냐라고 하는 거죠. 실제로 거기에 대한 나름의 근거 제시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문제는 이러한 일본 정부의 무리한 추진에도 불구하고, 오는 7월 유네스코의 판단 결과가 일본 정부의 바람대로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데 있습니다.
 
정혜경ㅣ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티키(TICCIH)라는 게, 산업유산보전국제회의라는 기관인데요. 산업유산 등재할 때는 티키도 심사에 협력하도록 했어요. 근데 중요한 건 뭐냐 하면, 이 티키는 지금 현재 일본 측에 굉장히 경도되어 있어요. (유네스코) 본회의에서 '티키에서 그러는데, 이건 좋대' 이렇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우리가 특히 티키라는 존재에 대해서 주목해야 되고...
 

사도 광산에 이어 줄줄이 예고된 '역사 왜곡 시도'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 2015년 군함도를 세계유산에 등록하면서 '조선인 강제 노역의 역사를 적시하겠다'는 조건을 받아들였지만, 정작 그 약속을 지킨 적은 없었습니다.

게다가 일본 정부가 줄줄이 제출할 예정인 '잠정 목록 후보'에는 사도 광산 외에 또 다른 강제동원의 현장들도 올라와 있는 상태입니다. 즉, 일본 정부가 앞으로도 '세계유산 등재 카드'를 계속 역사 왜곡의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인 것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