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뉴욕 100대 맛집에 한식당 7곳…수출로까지 이어지는 한식 인기

<앵커>

화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여기 나오는 음식들이 미국 뉴욕에서 가봐야 할 식당으로 꼽힌 한식당들의 메뉴라고요.

<기자>

뉴욕타임스가 최근에 2024년 뉴욕 최고의 100대 맛집을 선정했는데요.

한식당 7곳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지금 보시는 메뉴들이 이번에 선정된 식당들의 요리들입니다.

이번에 뽑힌 뉴욕 100대 식당에는 중식당과 일식당보다도 한식당이 더 많습니다.

지난해에도 6곳의 한식당이 뉴욕타임스 100대 맛집에 이름을 올렸는데요.

올해는 그중에서 2개 식당은 빠졌지만, 다른 식당 3곳이 새롭게 합류하면서 뉴욕 100대 맛집 리스트에 한식당이 하나 더 늘어나게 됐습니다.

뉴욕에서 시작한 집도 있지만, 옥동식이나 해운대 갈빗집처럼 한국에서 먼저 인기를 끌어서 진출한 식당들도 포함됐습니다.

한 끼에 수십만 원짜리 최고급 식당부터 우리 돈으로 곰탕 한 그릇에 2만 5천 원 정도를 받는 집까지 가격대나 스타일도 다양합니다.

한 그릇 2만 5천 원에다가 뉴욕의 팁과 세금까지 더해지는 걸 생각하면 싼 건 아니지만, 뉴욕 물가를 고려하면 현지에서 고가로 분류되는 집은 아닙니다.

아무튼 공통된 특징이라면 말만 한식이라거나 주인이 한국인일 뿐 이런 집들이 아니고요.

한식의 맛, 상차림, 정체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현지화한 식당들이 두루 뽑혔다는 겁니다.

그냥 우리 동네 고깃집이라고 해도 어색하지 않은 상차림의 집들입니다.

뉴욕타임스가 뽑은 맛집과 내 취향은 다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인들이 모여들어서 전 세계 음식 트렌드를 겨루는 뉴욕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리스트 중에 하나이기는 하고요.

여기서 올해 아시아 식당 중에 한식당이 가장 많이 포함된 건 지금 한식의 위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한식의 인기가 이렇게 높아지면서 좋은 소식 하나 더 있던데요. 우리 식재료들의 수출도 늘어나고 있다고요.

<기자>

우리나라 농수산식품 수출은 지난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는데요.

올해 들어서 지난 2월까지 또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과거의 식재료나 식품 수출과 근본적인 차이는 한식문화가 수출되면서 식재료 수출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전에는 해외 문화와 수요에 맞춰서 원양어선 통해서 수확해 오는 참치 같은 게 우리 식재료 수출의 주역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가 좋아하는 걸 밖에서도 먹고 싶어 해서 우리에게 제일 친숙한 재료와 가공식품들이 대표 수출품목들이 되고 있습니다.

지금 밖에서 제일 잘 팔리는 우리 식품은 라면입니다.

올해 사상 처음으로 수출 규모가 10억 달러도 돌파할 걸로 내다보이고요.

전체 2위이자 수산물 중에서 가장 잘 팔리는 건 김입니다.

김은 124개 나라로 수출되면서 전 세계 소비량의 7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소주도 지난해 처음으로 1억 달러어치 넘게 해외로 팔려나갔고요.

이 밖에도 떡을 비롯한 쌀 가공품, 김치, 과자, 음료수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광범위하게 수출이 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 회사들이 만드는 음료수는 지난해 6억 달러어치 가까이 밖으로 팔려나가면서 역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는데요.

올해 들어서 2월까지는 지난해보다 28%나 또 늘어났습니다.

한국 음료수는 중국과 미국, 그리고 동남아에서 잘 팔리는데요.

쌀로 만든 음료 같은 한국적인 맛이 인기가 좋습니다.

<앵커>

한식이 지금처럼 이렇게 인기가 계속 높으려면 그만큼 준비가 필요하겠죠.

<기자>

돼지곰탕을 뉴욕에서도 돼지곰탕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우리 식재료와 음식을 우리 이름으로 자리 잡게 하려는 노력을 앞으로도 계속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품질을 유지하고 또 향상시키려는 노력도 해야겠고요.

식재료의 경우에는 이제는 내수와 해외 수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생산성을 높이는 문제도 고민해야 합니다.

이를테면 김의 인기가 너무 밖에서 높아지면 우리 먹을 김이 부족해지는 거 아니냐, 얼마 전까지만 해도 농담처럼 하던 얘기가 조금은 현실화되는 면이 벌써 나타나고 있거든요.

그래서 땅에서 김을 기르는 새로운 양식법을 비롯해서 좀 더 생산성을 끌어올려서 김 수확량을 늘리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이런 노력이 다른 식재료들에 있어서도 지속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겠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