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예금 중도해지 부탁해요…아들이 지하실에 갇혀있어요."
영업시간이 채 되기도 전인 지난 1일 오전 8시 40분.
50대 남성 A 씨가 평창 대관령 한 은행에 방문해 다급히 예금 계좌를 중도 해지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초조한 얼굴로 현금을 인출해 달라는 말에 의아했지만, 이제 막 은행 문을 연 직원들은 A 씨에게 "조금만 기다려달라"는 말을 남긴 뒤 분주히 영업을 준비했습니다.
그러는 사이 누군가와 계속 통화 중이었던 A 씨는 전화도 끊지 않고 직원에게 휴대전화를 맡기며 충전을 부탁했습니다.
휴대전화를 건네받은 대관령 신협 본점 이 모(33) 서기는 순간 A 씨가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머릿속에 스쳤습니다.
이에 이 서기는 곧장 창구에 이 사실을 알렸고, 직원들은 A 씨를 불러 예금 계좌 중도 해지 사유를 물었습니다.
그는 "전세자금 때문"이라고 짧게 답했고, 직원들은 "예금 만기가 한 달밖에 남지 않아 중도 해지보다는 대출받는 게 더 이익"이라고 안내하며 시간을 끌었습니다.
이후 조 모(57) 전무가 A 씨를 은행 밖으로 이끌며 현금이 필요한 진짜 이유를 물었습니다.
"누군가한테 전화를 받았어요. 아들이 친구 보증을 잘못 서서 지금 지하실에 갇혀 있다고요. 그래서 지금 당장 현금 2천700만 원을 갚아야 해요."
그제야 A 씨는 전화금융사기범에게 협박받고 있다는 사실을 털어놓았습니다.
조 전무는 직원들에게 상황을 설명했고, A 씨가 불안해하지 않도록 아들과 전화 연결을 시켜줬습니다.
이후 조 전무는 은행 건너편에 있는 대관령 파출소에 방문해 곧장 피해 사실을 신고했습니다.
출동한 대관령 파출소 경찰관들은 A 씨 휴대전화에 해킹 애플리케이션이 깔려 있는지부터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A 씨 휴대전화에는 이상이 없었습니다.
A 씨 아들의 휴대전화를 통해 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살핀 결과 아들의 휴대전화에 해킹 애플리케이션이 깔려 있었습니다.
경찰은 아들이 최근 문자로 온 링크 주소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한 개를 내려받았다는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경찰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족과 지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하고, A 씨 아들에게 집과 가까운 경찰서에서 관련 피해 상담을 받아보라고 권유했습니다.
평창경찰서는 보이스피싱 범죄 직전 피해를 예방한 조 전무와 이 서기에게 감사장과 신고 보상금을 수여했습니다.
또 정 경감과 류 순경 등 경찰관들에게도 표창을 수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 평창경찰서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