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대 교수 사직 행렬에 진료 축소 이어져…"환자는 죽으란 거냐"

의대 교수 사직 행렬에 진료 축소 이어져…"환자는 죽으란 거냐"
정부가 5월에 2천 명 증원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의대 증원에 쐐기를 박으면서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봉합되지 않는 가운데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한 의정 간 대화창구 마련도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환자들은 '사태 장기화'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전남대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어제(26일)까지 비대위에 사직서를 전달한 교수는 총 정원 283명 중 50여 명입니다.

조선대는 의대 교수 161명 가운데 33명이 사직서를 냈습니다.

1천 명에 가까운 교원이 재직하는 울산의대는 교수 433명의 사직서가 대학 측에 제출됐습니다.

제주대는 오늘 오전까지 의과대학 교수 153명 중 10여 명이 사직서를 냈습니다.

충남대병원 로비에 붙은 호소문

충남 천안의 순천향대 천안병원에서는 233명 의대 교수 가운데 지금까지 100명 안팎의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했습니다.

충북대병원도 교수 200여 명 가운데 최소 50명 이상이 사직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강원대학교 의대 겸직교수 1명은 어제 직접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남 경상국립대 의대에서는 오늘까지 전체 260여 명 중 25명의 교수가 사직서를 냈습니다.

계명대 의대 교수들도 오늘 오전부터 개별적으로 사표를 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국 의대 교수들이 대부분 29일까지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할 예정인 가운데, 이번 주까지 사직서를 제출하는 교수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제주대 의대 교수협의회는 과업으로 피로도가 누적되다 보니 외래 진료를 개인적으로 축소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주도는 의료진 부족에 대비해 지난 21일 제주대병원과 제주 한라병원에 공보의 5명을 파견한 데 이어 25일에도 제주대에 군의관 2명을 긴급 파견했습니다.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 비대위는 사직서 수리 전까지 중증·응급 관련 부서부터 '52시간 준수' 형태의 준법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각 병원에서는 내주부터 교수들의 근무 시간 축소가 가시화할 것으로 보고 대응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대학병원에 붙은 휴진 안내 (사진=연합뉴스)

전북대병원은 최근 병원에 의료계 현황 문제로 일부 진료과 진료 시간이 제한됨에 따라 '환자 여러분의 양해를 부탁드린다'는 안내문을 부착했습니다.

안내문에는 안과 응급진료가 오전 9시부터 18시까지, 성형외과 응급진료가 7시부터 22시까지 이외 시간에는 응급 수술을 제외한 다른 진료가 불가하다고 안내했습니다.

사직서를 제출한 일부 교수는 호소문을 통해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이재환 충남대 심장내과 교수는 어제 사직의 변을 통해 매년 100일씩 당직하며 필수 의료 분야에서 일해왔지만, 교수로서 자부심과 보람이 무력감과 자괴감으로 바뀌었다며, 교수직을 내려놓으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대학병원 외래의 장시간의 대기와 3분 진료에 만족할 분은 없을 것이라면서 불합리한 현실이 언젠가는 개선될 것으로 생각했지만, 2천 명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희망이 무너졌고, 의료의 미래가 사라진 이 땅에서 필수 의료에 몸담을 자신이 없다고 토로했습니다.

울산의대 교수협 비대위도 어제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사직서가 수리되기 전 정부가 2천 명이라는 근거 없는 족쇄를 풀고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하도록 지지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4기 유방암 판정을 받은 60대 어머니와 함께 충북대병원 종양혈액내과를 방문한 딸 A(30대) 씨는 수술이 불가능한 단계라 최소 3주에 한 번씩은 항암치료를 해야 한다는데 교수들마저 그만두면 주기가 길어질까 봐 불안하다고 했습니다.

신장내과에서 만난 70대 전 모 씨는 신장 기능이 15%밖에 남지 않아 매달 정기 검진을 받는데, 투석하는 상황이 머지않아 올 수도 있다며 교수들이 사직하면 환자들은 죽으라는 거냐며 가슴을 쳤습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의료정상화를 촉구하는 전국 동시 다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는 정부와 의사 집단은 환자들을 생명의 위험으로 내몰고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박탈하는 의료공백 사태를 방치하지 말고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이룩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의 의료공백 사태의 해결은 정부의 책임이 있어야 한다며, 이는 시장 의료가 아닌 공공의료 강화를 통해 가능한 일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들 조합원은 한국의 필수 의료와 지역의료 붕괴의 원인이 시장 중심의 의료시스템에 있다고 짚으며 공공의료 확대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