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9년 만에 적자 · 치솟는 연체율…저축은행 '경고등'

<앵커>

지난해 국내 저축은행 실적이 9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부동산 PF 부실 여파 등으로 연체율이 크게 치솟아 2011년 저축은행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괜찮은 건지, 안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의 한 주상복합건물 재개발 현장.

지난해 사업 인가 후 아직은 브릿지론 단계, 올해 본 PF대출로 갈아탈 예정입니다.

이른바 '노른자 땅'인데도 이 사업장에 대출해준 한 저축은행은 최근 위험요인을 반영해 '충당금'을 추가 적립했습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 : 경제 상황이 어렵고 하다 보니까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나 이런 게 많이 떨어져 있거든요. 그렇다고 그러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아놓자 이렇게 된 것이죠.]

저축은행은 브릿지론 단계의 PF대출을 많이 해, 부동산 경기 침체 충격을 고스란히 받았습니다.

1년 넘도록 본 PF로 전환하지 못한 사업장 비율이 90%에 달합니다.

위험 흡수를 위해 충당금을 쌓다 보니 실적 악화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총액은 1년 만에 1조 3천억 원이나 늘었고, 고금리 특판 상품 판매 경쟁으로 예금 이자 비용도 2조 4천억 원 넘게 급증하면서, 저축은행 업계 순손실은 5천559억 원, 9년 만의 적자 전환입니다.

여기에 연체율이 7%에 육박하며 1년 새 2배 가까이 뛰자, 저축은행 16곳이 무더기 영업정지를 당했던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재연 우려가 나옵니다.

[하준경/한양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지금은)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위험을 나눠 지고 있기 때문에 만약에 충격이 작다고 하면 이 위험이 분산이 돼서 감내할 수 있게 되지만 (부실) 충격이 너무 크다고 하면 굉장히 다양한 경제 주체들한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금융 당국은 연체율은 당시보다 훨씬 낮게 유지되고 있고, 자기자본 비율도 높다며 부실 우려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금리 인하 시점에 따른 PF 사업 정상화 속도가 건전성 회복에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 영상편집 : 김병직, 디자인 : 조성웅·김한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