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진짜 원하는 것'을 발견하는 법…"상상 속의 집을 채워라"

<번아웃의 모든 것> 장재열|비영리단체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을 운영 중인 상담가 겸 작가

인잇 집
EBS '건축탐구 - 집'이라는 교양프로그램을 아시나요? 매주 두 명의 건축가가 출연하는데요. 자신이 직접 집을 지어서 사는 사람들을 찾아가, 집 구경도 하고 '어떻게 스스로 집 지을 생각을 했는지?' 사연도 들어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마 여기까지 들으신 분들은 "돈 많은 사람 이야기네" 하실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고급주택만 나오는 것은 아니에요. 전세자금 대출을 받아도 서울에서 집을 구할 수 없어서 직접 집을 지은 젊은 부부, 대가족이 함께 살지만 각자의 사생활이 보장되게 하려고 문이 2개인 집을 만든 가족, 적게 소비하는 삶을 위해 6평짜리 농막 주택을 지어 사는 은퇴자 부부. 우리 삶에서도 흔히 공감할 만한 주제로 집을 지은 사람들이 주인공입니다. 다만 그들에게는 한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자신의 '정서적 욕구'를 명확히 파악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는 점이에요.

저에게 가장 인상적인 장면을 하나 꼽자면, 아주 초반 방영분이었는데요. 프로그램 말미에 PD님이 출연인 한 가장에게 "내 집을 짓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건 뭘까요?"라고 묻습니다. 그리고 이런 답변이 돌아오죠.

"가장 필요한 거요?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아는 거. 자기를 모르면 집을 지을 수가 없어요. 내가 어떤 쉼을 원하는지, 어떤 공간에서 행복한지… 집을 지을 수 있다는 건 내가 어떤 삶을 살고 싶다는 건지 정확히 아는 데서 시작하거든요."

본질을 꿰뚫는 표현이었어요. 독일의 공간 심리학자 바바라 페어팔의 책 '공간의 심리학'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죠. 여러분은 어떠세요? 지금 당장 집을 지을 돈과 상황이 갖추어진다면 어떤 집을 짓고 싶나요? 내부 공간은 어떻게 구성하고 싶나요? 만약 지금 여러분이 지쳐 있음에도 '어떻게 쉬어야 잘 쉬는 건지 모르겠다'거나, 아니면 '하고 싶은 것도, 원하는 것도 없는' 무색무취의 건조함에 지쳐 있다면 이 테라피가 작은 도움이 될 겁니다. 저와 함께 잠시 '상상 속의 집' 그리기를 해볼까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종이를 꺼내서, 빈 방 10개짜리 도면을 그립니다. (화장실은 방으로 포함하지 않습니다.)
2. 차례대로 하나씩 어떤 용도로 쓰고 싶은지 쓰거나, 그립니다. 거실, 침실, 옷방, 응접실, 손님방, 요가방, 노래방, 히노키 욕조, 사우나, 오토바이 차고, 차 마시는 방, 무엇이든 좋습니다.
3. 10개를 다 채워 넣고, 더 그려도 좋습니다. 다 못 채웠다면 그것도 괜찮습니다.
4. 이제, 형편이 조금 어려워졌다고 생각하고 3개만 지워봅니다.
5. 그리고 다시 4개를 더 지워서, 3개의 방만 최종적으로 남깁니다.

자, 여러분은 어땠나요? 10개를 다 채우지 못하는 분도 계시고, 또 모자란 분도 있을 겁니다. 그리고 방을 그려나가는 과정도 중요하지만, 지워나가는 과정 속에서 '내가 어떤 것을 가장 포기하기 싫은지', 즉 무엇을 생존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어떤 분은 침실을 포기해도 옷 방을 남기겠다 하시는 반면, 어떤 분은 옷 방을 포기해도 서재는 꼭 남기고 싶다고도 하세요. 침실과 운동방 딱 두 개만 두는 분도 계셨지요.

자, 그러면 여러분은 물으실 겁니다. 가장 끝까지 남긴 것들이 중요한 거냐고요. 아니요. 이 테라피에서는 '지워버린 것들'에 집중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지워진 것들은, 다시 말하면 일상이 바쁘고 힘들어질수록 '제일 먼저 포기한 욕구들'일 확률이 높습니다. 가족들을 먼저 챙기느라, 일이 너무 바빠서, 돈이 너무 많이 들어서 등등 이런저런 이유로 미루로 덮어두었다가 그대로 잊힌 내 취향의 조각들이지요.

지금껏 계속 방을 지워가듯, 일상에서 지우고 미루고 덮어두다가 그대로 잊혀버린 것들이 얼마나 될까요? 종이를 버리지 말고 잠시 바라봐 주세요. 소거해버린 내 욕구들을 가만히 다시 바라봐 주세요. 비록 방 10개짜리 저택은 만들지 못하더라도 일상의 작은 '틈새' 정도는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잊혔던 내 욕구들이 다시 돌아와 자리를 잡을 수 있게요.

인잇 장재열 청춘상담소 '좀놀아본언니들' 청년 3만 명을 상담하며 세상을 비춰 보는 마음건강 활동가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