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 보조금, 삼성 60억 달러 vs TSMC 50억 달러"
블룸버그통신은 이와 함께 삼성의 '아시아 라이벌' 타이완 TSMC에도 50억 달러(6조 6,600억 원) 이상의 보조금이 지급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TSMC는 미국 애리조나주에 400억 달러(53조 2,800억 원)를 들여 반도체 공장 2개를 건설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이 삼성전자보다 10억 달러(1조 3,320억 원) 정도 적습니다. '삼성전자가 파격적인 보조금을 받게 됐다', '미국이 예상보다 많은 보조금을 삼성에 제시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당초 업계에선 삼성전자의 미국 투자 규모와 TSMC의 보조금 규모 등을 감안할 때, 삼성전자의 지원금이 20억~30억 달러 수준일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반도체 기업들이 제출한 투자 의향서는 600건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난 12일 미국을 방문한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우리 기업이 미국 정부의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것은 분명한데, 규모는 두고 봐야 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이런 '통 큰' 결정을 한 데에는 한·미 관계뿐 아니라 삼성전자의 전략적 가치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도체 파운드리에 의존하고 있는 TSMC와 달리, 삼성전자는 파운드리는 물론, 반도체 설계에서부터 메모리 반도체 생산, 패키징(후공정)까지 가능합니다. 미국 입장에선 반도체에 대한 TSMC 의존도를 낮추고 지정학적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삼성전자를 활용하려 할 수 있습니다.

삼성 "확인할 수 없다"…추가 투자·중국 사업 부담
그렇다고 거액의 보조금 지급이 삼성전자에 마냥 반가운 일은 아닙니다. 물론, 미국 투자 확대를 통해 엔비디아, AMD, 메타 등 굴지의 반도체 고객을 적극 유치해 파운드리 업계 1위 TSMC를 추격하고, 인텔, 마이크론 등 후발 주자들과의 격차를 벌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거액의 보조금 지급을 이유로 미국 정부의 투자 압박은 거세질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국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에도 오는 2047년까지 50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한 상태입니다.
나아가, 삼성전자의 대중국 사업에도 압박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반도체법은 미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는 기업에 대해 중국 내 '가드레일'을 두고 있습니다.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 라인을 5% 이상 확장할 경우 보조금을 미국 정부에 반환해야 합니다. 중국에도 대규모 반도체 생산라인을 보유한 삼성전자 입장에선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초과 이익을 낼 경우 보조금의 최대 75%를 미국 정부와 공유해야 한다는 반도체법 조항도 달갑지 않은 대목입니다.
일본·중국·유럽 등 반도체 보조금 경쟁 격화
일본에선 TSMC와 일본 소니 등이 합작한 JASM(일본 첨단 반도체 제조) 공장이 지난달 규슈 구마모토현에서 완공됐습니다. 전체 설비 투자액의 40%에 해당하는 4,760억 엔(4조 2,556억 원)을 일본 정부가 부담했습니다. 올해 말 착공 예정인 제2 공장에도 일본 정부가 7,300억 엔(6조 5,265억 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정부와 민간기업이 함께 62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인도 역시 13조 원의 반도체 보조금을 내걸었습니다. 중국은 35조 원 규모의 세 번째 반도체 육성 펀드 조성에 나섰는데, 중국 지방 정부와 투자 회사, 국영기업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정부의 이런 노력으로, 미국의 전방위 압박 속에서도 SMIC, YMTC 등 중국 반도체 회사들이 약진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반도체 투자에 대한 세액 공제 확대, 국가산업단지 조성, 반도체 인력 양성, 인프라 지원 등 여러 지원책을 내놓고 있지만, 정작 보조금은 선뜻 내세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특혜 논란, 국가 예산, 국회 상황 등 여러 요인이 복합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최근 반도체 업황은 차세대 HBM 양산 등을 놓고 급변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위기나 기회도 빨리 찾아올 수 있습니다. 다른 업계도 마찬가지지만 반도체 업계에서만큼은 '강자만이 살아남는다'는 논리가 갈수록 들어맞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