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친절한 경제] 상여금 받아 신용대출부터 갚았다…가계대출은 여전히 증가세

<앵커>

금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직장인들은 보통 상여금이 나오는 달에 마음도 주머니도 여유가 생기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 상여금을 어디에 쓰나 봤더니 빚 갚는데 많이 쓰고 있다고요.

<기자>

지난해 4분기에 신용대출처럼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은행권 기타 대출 잔액 1조 3천억 원이 줄었고요. 

1월에도 1조 5천억 원이 또 줄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연말에 상여금을 받아서 신용대출부터 열심히 갚았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 같은 비은행권의 금리가 좀 더 높은 대출도 5조 8천억 원 규모로 감소했습니다.

이건 비수도권 부동산 경기가 계속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영향이 큰 걸로 보이고요.

1월까지도 이 분위기는 이어졌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가계빚 규모가 너무 커서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 하는 부담 때문에 소비로 돈이 흘러들지 못하고 이게 지금 우리 경제의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내수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GDP를 추월하는 규모의 가계빚 이걸 좀 안심할 수 있는 수준으로 최소한 GDP 100% 밑으로 줄이는 게 일단 시급한데 가계가 대체로 건전한 금융 태도를 보인 연말연초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여전히 가계대출은 증가추세입니다.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 연간 11조 5천억 원 규모로 늘어났습니다.

금리 상승기였던 2022년에 관련 집계를 시작한 후 처음으로 가계빚 규모가 좀 줄었는데요.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겁니다.

천천히 늘고 있기는 합니다. 

아예 감소가 나타났던 2022년을 제외하면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의 증가폭을 보이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늘어난 건 늘어난 거죠.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 이제 1천100조 원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 기록을 다시 썼습니다.

<앵커>

증가폭이 줄어들었다는 건 다행인데 여전히 걱정입니다. 아무래도 주택담보대출 때문이겠죠.

<기자>

주택담보대출입니다.

지난해도 주택담보대출은 51조 6천억 원 늘어나면서, 다른 모든 대출이 꽤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가계대출 전체 잔액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인 겁니다.

지난해 최종적으로 연간 43조 원 좀 넘는 규모로 풀린 특례보금자리론이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걸로 보입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해와 비슷한 추세입니다.

은행권 신용대출 1월에 1조 5천 억 원 규모로 줄었지만, 주택담보대출이 4조 9천억 원, 5조 원 가까이 늘면서 은행권 가계빚 잔액이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앵커>

올해 전망은 어떨까요?

<기자>

불확실성이 좀 있지만 대출 증가세는 낮은 수준을 유지할 거라는 게 한국은행의 관측입니다. 줄지는 않고 완만하게 늘어날 거다.

일단 이른바 스트레스 DSR 지난달 말부터 시행되고 있죠.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금리 상승까지 고려해서 소득 대비해서 받아갈 수 있는 대출의 규모를 제한하는 제도인데요.

이 스트레스 DSR이 올해 가계부채 늘어나는 속도를 좀 억제하게 될 걸로 봅니다.

그리고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에 있어서 큰 부분을 차지했던 정책 대출 특례보금자리론 같은 나라의 정책대출이 지난해보다 규모가 작은 편입니다.

일단 올해는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을 합친 규모를 지난해의 3분의 2 수준인 40조 원 규모로 관리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큰 관심이 모였던 신생아특례대출의 경우에는 일단 워낙 출생률이 낮다 보니까 대상이 될 수 있는 사람 자체가 많지 않고요.

아직까지는 새로 대출을 내는 경우보다 갈아타기 수요가 더 큰 걸로 보고 있습니다.

4명 중 3명 꼴은 갈아타려고 이 대출을 내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 전세가가 다시 좀 오르는 모습을 보이면서 지난해에는 주춤했던 전세대출이 좀 늘어날 여지가 있는 걸로 분석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주택담보대출은 계속 늘고 있는데, 사실 부동산 시장은 또 계속 부진하거든요.

이건 꼭 집을 사려는 수요가 아니더라도 가계에 자금이 필요하면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받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는 게 한은의 분석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집값이 더 떨어지게 될 경우 소득이 낮으면서 2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이른바 취약차주들의 경우에는 신용 위험이 부동산 상승기보다 좀 더 큰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최근에 이런 대출자들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조금씩 올라가는 모습도 나오고 있습니다.

올해 계속 관심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