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상] 교수들까지 떠나면 닥칠 '최악의 상황'?…'2천 명' 타협 없다는 정부 "결과 어떻든 모든 책임은 장·차관이"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이탈이 4주째 접어든 가운데 의대 교수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정부가 "제자들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 사직한다는 것은 사직의 이유가 될 수 없다"며 진료와 교육 현장을 떠나지 않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2000명 증원을 1년 뒤 논의하자는 제안에는 "의대 증원 연기나 규모 축소 등을 전제한 대하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한시라도 늦출 수 없다"고 재차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박민수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오늘(13일) 정례브리핑에서 "환자 곁을 떠나는 것이 제자를 지키는 것이라는 주장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며 "교육자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진료와 교육 현장을 떠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 등 19개 의대 교수 대표들은 어제(12일) 공동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각 대학 교수와 수련병원 임상진료 교수의 뜻을 물어 15일까지 집단사직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박 2차관은 "제자들의 불이익은 면허에 관한 것이지만 교수님들이 진료 현장을 비우면 환자들에게는 그 무엇보다 소중한 생명이 걸린 일"이라면서 "의사는 어떤 경우에도 환자가 죽음에 이르도록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의사로서 가장 기본적인 직업윤리"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더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교수님들의 의견을 경청하겠다"면서도 "대화의 전제로서 증원을 1년 연기를 한다든지, 규모를 축소하라든지 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대화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부는 또 내년에 2000명의 의대 정원을 늘린다는 시기와 수치에 대해서는 양보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전공의 이탈 사태에서 대학 교수와 임상 진료 교수까지 떠나면 최악의 상황이 닥치는데 이에 대한 책임론을 묻자 박 2차관은 "결과가 좋든 나쁘든 그 결과에 대해서는 장·차관이 책임을 지는 것"이라며 "저는 여러 차례 직원들 앞에서 장·차관이 모든 것을 책임 지니까 직원들은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습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 / 구성 : 진상명 / 편집 : 윤현주 / 제작 : 디지털뉴스제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