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증권사들 해외 부동산 잠재 리스크 여전 "3.6조 손실 인식 안 해"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펀드 평가 손실 현황

국내 증권사들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 펀드 중 3조 6천억 원어치에 대해서는 아직 한 번도 손실을 인식하지 않은 상태로, 향후 추가 손실이 발생할 리스크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15일 '증권사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현황 및 관련 손실 점검'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나신평이 현재 신용도를 평가하는 25개 국내 증권사의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총액은 총 14조 4천억 원입니다.

대부분은 완공된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임차 수익 등을 수취하는 구조인데, 부동산 펀드 및 리츠·지분 투자 형태가 8조 7천억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나신평에 따르면 해외 부동산 펀드 8조 3천억 원 가운데 절반 이상인 4조 6천억 원 규모에 대해서는 손실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 중 40%가량인 1조 8천억 원어치를 지난해 9월 말 기준 평가 손실로 인식한 상태입니다.

그러나 나머지 약 3조 6천억 원의 해외 부동산 펀드에 대해서는 아직 손실을 한 번도 인식하지 않았다고 나신평은 지적했습니다.

만기별로는 2023∼26년 사이에 만기가 도래할 펀드들에 대해 지난해 9월 말 기준 약 26% 평가 손실률을 나타내고 있고, 작년 4분기에도 해외 부동산 관련 손실을 추가 인식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나신평은 "임차 수요 감소와 고금리 기조의 지속이 해외 부동산시장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해,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에 대한 추가 손실 발생 가능성이 상존한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증권사별로 살펴볼 때 지난해 9월 말 기준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 규모가 1조 원을 넘는 곳은 미래에셋, NH투자, 하나, 메리츠, 신한투자, 대신증권 등 6개사입니다.

나신평은 "이 증권사들의 자기자본 대비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가 약 31% 수준으로 관련한 양적 부담이 존재하는 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

해외 부동산 리스크는 해당 증권사들의 실적에도 타격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나신평은 "미래에셋, 하나, 메리츠, 신한투자 4개사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지난해 실적 저하가 크게 나타났다"며 "이들 증권사가 지난해 해외 부동산 관련 손실 규모가 상당했던 점을 고려하면 해외 부동산 익스포저에 대해 대규모 손실 인식을 단행한 것이 실적 저하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목했습니다.

다만 보고서는 "금융지주회사 계열의 증권사라면 모기업으로부터 유상증자, 후순위성 채권 인수 등 지원 여력과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 "실제로 올해 연초 증권사를 보유한 금융지주사들의 신종 자본증권 발행이 활발한 모습"이라고 전했습니다.

(사진=나이스신용평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