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임기환 전 국방비서관, 해병대사령관과 7차례 통화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임기환 전 국방비서관, 해병대사령관과 7차례 통화
▲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호우 피해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해병대 고 채 상병 사고 조사 과정에 대한 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인 임기환 국가안보실 전 국방비서관이 채 상병 실종 이후 김계환 해병대사령관과 최소 7차례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정훈 해병대 전 수사단장 변호인 측이 확보한 김 사령관 통화기록 등에 따르면 임 전 비서관은 채 상병 실종 당일인 지난해 7월 19일 낮 12시 14분쯤 김 사령관과 전화통화를 했습니다.

채 상병 실종 약 3시간 뒤였습니다.

임 전 비서관은 이후 다음날(20일) 오전 7시와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 이첩 계획이 보고된 30일 저녁 6시, 6시 15분에도 김 사령관과 통화를 나눴습니다.

임 전 비서관은 또 이종섭 국방장관이 이첩 보류를 지시한 31일 오전 9시 53분과 오후 5시에 다시 김 사령관과 통화했습니다.

이는 7월 31일 "해병대사령관과 통화한 적 없다"고 한 임 전 비서관의 지난해 8월 30일 국회 운영위 발언과 배치되는 대목입니다.

임 전 비서관은 박 전 수사단장이 해임되기 전날인 지난해 8월 1일 오후 3시 37분, 김 사령관과 7번째 통화를 했습니다.

군 검찰은 이러한 기록을 확보하고도 임 전 비서관에게 통화 경위에 대해 따로 묻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채 상병 사고 조사 외압 의혹은 지난해 사고 당시 대통령실이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축소하고 경찰 이첩을 보류하도록 했다는 의혹입니다.

임 전 비서관은 사건 당시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으로 일하면서 대통령실의 의중을 김 사령관에게 전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지난달 30일 국방부 검찰단과 조사본부를 압수수색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