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제 '67년' 무관…손흥민 · 이강인 · 김민재로도 못 이룬 아시안컵 우승

이제 '67년' 무관…손흥민 · 이강인 · 김민재로도 못 이룬 아시안컵 우승
▲ 요르단 경기에서 경기 종료 시간이 가까워지자 이강인, 손흥민, 조규성이 안타까워하고 있다.

한국 축구가 '아시안컵 징크스'를 카타르에서도 깨지 못하고 무관의 세월을 67년으로 늘렸습니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지휘하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7일(한국시간) 카타르 알라이얀의 아흐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요르단과의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준결승전에서 0-2로 져 탈락했습니다.

이로써 한국 축구는 64년 만의 아시안컵 우승에 실패했습니다.

다음 대회는 2027년 1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아시아 최강'을 자처하는 한국은 이제 67년 만의 우승을 기약해야 하는 신세입니다.

한국 축구는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역대 최다인 6회 우승 등 국제무대에서 빛나는 성적을 거뒀습니다.

그러나 아시안컵만 따지면 '종이호랑이' 신세입니다.

요르단 경기가 끝난 뒤 손흥민과 이강인이 경기장을 나서고 있다.

한국이 아시안컵에서 우승한 것은 역대 두 차례(1956·1960년)로 참가팀이 4개국에 불과했던 시절이었습니다.

이후 4차례 준우승(1972·1980·1988·2015년)과 4차례 3위(1964·2000·2007·2011년)의 성적을 거뒀습니다.

라이벌인 일본이 4차례 우승(1992·2000·2004·2011년) 한 것과 비교하면 아쉬움이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한국은 이번 대회 8강에서 탈락한 일본과 격차를 좁힐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잡았으나 이를 살리지 못했습니다.

한국은 그간 중동의 '모래바람'에 약한 모습을 자주 보였습니다.

토너먼트에서 중동 팀에 여러 번 발목이 잡혔습니다.

직전 대회인 2019년 아랍에미리트(UAE) 대회에서 한국은 카타르에 8강에서 패해 짐을 쌌습니다.

2007년 동남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이라크에 승부차기로 져 우승 꿈을 접어야 했습니다.

2004년 중국 대회에서는 8강에서 이란, 2000년 레바논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사우디에 져 탈락했습니다.

1996년 UAE 대회 때는 8강에서 이란에 무려 2-6이라는 점수로 대패하는 악몽을 경험하기도 했습니다.

이번에도 한국은 중동의 복병 요르단에 패하며 짐을 쌌습니다.

카타르 도하 알에글라 훈련장에서 대표팀 선수들이 훈련장을 뛰며 몸을 풀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공격부터 수비까지 '월드클래스' 선수들이 포진해 역대 최강의 대표팀이라는 평가까지 받은 터라 아쉬움은 더 큽니다.

손흥민(토트넘)과 황희찬(울버햄프턴)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무대를 주름잡는 공격수들입니다.

벌써 9시즌째 EPL 그라운드를 누비는 손흥민이 일찌감치 '월드클래스 골잡이'로 인정받은 가운데, 2021-2022 시즌 EPL에 입성한 후배 황희찬이 올 시즌 들어 손흥민에 버금가는 활약을 펼쳐 보였습니다.

손흥민이 12골로 EPL 득점 랭킹 4위를 달리고, 10골의 황희찬이 7위에 올라 있습니다.

세계 최고 무대인 EPL에서의 올 시즌 득점수가 도합 22골이나 됩니다.

그런데 이들은 이번 아시안컵에서 단 하나의 필드골도 넣지 못했습니다.

손흥민이 넣은 3골 중 2골은 페널티킥, 1골은 프리킥 직접 슈팅에 이은 득점이었습니다.

부상 탓에 조별리그 3차전부터 그라운드에 투입된 황희찬은 페널티킥으로만 1골을 기록했습니다.

올 시즌을 앞두고 프랑스 리그1의 '스타 군단' 파리 생제르맹(PSG)에 입단한 이강인, 분데스리가 명문 바이에른 뮌헨의 '괴물 수비수' 김민재도 클린스만호를 4강 탈락에서 구해내지는 못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