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대 증원에 "소아과 '오픈런' 안해도" vs "의술 질 저하"

의대 증원에 "소아과 '오픈런' 안해도" vs "의술 질 저하"
정부의 내년도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 발표에 대해 시민들 사이에서는 의사 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불가피한 정책이라거나, 의료 질 저하 혹은 의대 쏠림이 우려된다는 엇갈린 반응이 나왔습니다.

의사 수 확대와 함께 내과·외과 등 필수의료로 전공의들이 진입할 유인책을 주거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질 격차를 좁힐만한 확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들도 있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6일 보건의료정책 심의 기구인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를 열고 의대 입학정원을 2천 명 늘리기로 했습니다.

의대 정원은 2006년부터 3천58명으로 묶여 있었습니다.

2세 딸을 키우는 직장인 홍 모(32) 씨는 "어린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는 의대 증원에 찬성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소아과에 가려면 예약을 해야 하고 종종 '오픈런'을 해야 할 때도 있는데 의사 수가 늘어나면 좀 더 편하게 진료를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기대를 내비쳤습니다.

경남 지역에 사는 직장인 박 모(42) 씨는 "의사 수가 늘어나면 각 지역 대학병원에 남는 의사들도 많아지지 않겠느냐"며 "의사들은 자신이 원하는 전공 선택을 하면서도 필수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한 의대정원을 반대하는 것은 집단 이기주의"라고 했습니다.

서울 관악구에 사는 류 모(64) 씨는 "다리가 아파서 정형외과에 갔는데, 의사는 3분도 못 보고 나와서 물리치료사들이 이것저것 다 해줬다. 난 의사를 만나러 병원에 가고 싶다"며 "의사가 늘어나면 그런 부분이 해결되는 거 아니겠나"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의대 증원과 의료 서비스 질 상승은 다른 문제라며, 늘어난 의사들이 성형·미용 등 인기과로 쏠리거나 수도권 지역으로만 몰리면 큰 소용이 없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

배 모(31) 씨는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린다고 늘어난 인원이 비인기과를 지원하고 지방근무를 선뜻 자처할까 싶다"며 "좀 더 촘촘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직장인 정 모(40) 씨도 "지방 병원 필수 분과에서 최소 몇 년 이상 근무를 하도록 한다든지 하는 구체적 조건이 동반돼야 한다. 필요한 분야에 한해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의사들이 줄 서있는 과까지 정원을 늘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소비자로서 의료 질 저하를 우려하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의대 문턱이 낮아지면서 지금도 대입에서 심각한 '의대 쏠림' 현상이 더욱 심해질 거란 걱정도 있습니다.

중학교 2학년생·초등학교 6학년생 자녀를 키우고 있는 김 모(56) 씨는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성적 면에서 자격조건이 안 되는 사람들에게 문이 열리면서 의술의 질이 떨어질까 우려스럽다"며 "소비자 입장에서 감내해야 할 위험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김 씨는 의대 증원으로 인한 학업경쟁 심화에 대해서도 우려를 내비쳤습니다.

그는 "정책 발표를 보고 우리 아이에게도 기회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모든 학부모가 그런 생각을 가지고 사교육을 시킬 텐데 학업 경쟁만 더 치열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출산을 앞두고 있는 임산부 김 모(30) 씨도 "기피과에 의사들을 강제로 배치할 수도 없을 것이고, 배치한다고 해도 높은 의료의 질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우려가 든다"며 회의적 반응을 보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