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긴 겨울 통과한 반도체…메모리 회복세로 실적 개선 잰걸음

긴 겨울 통과한 반도체…메모리 회복세로 실적 개선 잰걸음
SK하이닉스가 작년 4분기 1년 만에 흑자로 돌아선 데 이어 삼성전자도 4분기 적자 폭을 크게 줄이고 D램 부문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반도체 업황 회복세가 본격화했습니다.

전방 정보기술(IT) 수요 회복과 생성형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증가가 이어지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중 메모리 사업 전체적으로 흑자 전환을 예상하는 등 연초부터 밝은 전망을 예고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오늘(31일) 공시를 통해 작년 4분기 반도체 분야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2조 1천80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DS 부문 영업적자는 작년 1분기 4조 5천800억 원에서 2분기 4조 3천600억 원으로, 3분기에는 3조 7천500억 원으로 감소한 데 이어 1분기 만에 다시 1조 5천억 원 이상 줄어들며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메모리 감산 효과가 본격화하면서 가격 하락세가 멈췄고, 고객사 재고가 정상화하는 가운데 PC와 모바일 제품의 메모리 탑재량이 증가한 데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버 수요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됩니다.

작년 1분기부터 적자를 이어오던 D램은 재고 수준이 대폭 개선돼 4분기 만에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다만 1년 내내 계속된 적자로 DS 부문 연간 영업손실은 15조 원에 육박했습니다.

실적 개선 추세를 고려하면 올해 1분기 중 삼성전자가 메모리 전체 흑자 전환을 달성하고, DS 부문 전체로도 1분기나 2분기 중 흑자로 돌아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PC, 서버 등 IT 기기 교체 주기 도래와 생성형 AI 관련 고성능·고용량 메모리 수요 증가 등이 메모리 업황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32Gb DDR5 D램

D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복이 늦은 낸드도 데이터센터, 스토리지 등 서버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제품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삼성전자의 경우 작년 4분기 서버용 SSD 출하량이 직전 분기 대비 50%에 육박한 수준으로 증가하는 등 판매가 큰 폭으로 느는 추세입니다.

김재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은 오늘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생성형 AI 관련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서버 SSD 수요에 적극 대응하면서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메모리 사업은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증권가에서도 올 한 해 메모리 업황 개선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연간 실적 전망에 대해 "1분기 D램·낸드 가격 상승과 재고 건전화로 메모리 사업의 본격적인 실적 개선 추세 진입이 전망된다"며 "이에 따라 올해 메모리 반도체 영업이익은 지난해 12조 원 적자에서 올해 14조 원으로 전년 대비 26조 원 손익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재고 정상화를 위한 메모리 감산 기조는 당분간 큰 변동 없이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D램 재고는 1분기 중, 낸드는 늦어도 상반기 내에는 정상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재준 부사장은 "D램과 낸드 모두 세부 제품별 재고 수준에 차이가 있어 미래 수요와 제품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반기 중에도 여전히 선별적 생산 조정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앞서 지난 25일 먼저 실적을 공개한 SK하이닉스는 작년 4분기 영업이익 3천460억 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영업손실 1조 9천122억 원)와 비교해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작년 연간으로는 연결 기준 영업손실 규모가 7조 7천303억 원으로 전년(영업이익 6조 8천94억 원)과 비교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양사 전체적으로는 올 IT 전방수요 확대를 발판으로 큰 폭의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보고서를 낸 증권사들의 실적 전망치(컨센서스)를 집계한 결과, 삼성전자는 전 부문 합산 33조 6천930억 원, SK하이닉스는 10조 9천114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삼성 메모리 테크 데이 2023'에서 공개된 HBM3E D

올해 반도체 업황 개선을 이끌 주된 동력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은 역시 DDR5, HBM 등 고용량·고성능을 자랑하는 AI 반도체입니다.

향후 메모리 감산 기조 완화로 레거시(범용) 메모리 제품의 가격 상승세는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제조사들은 HBM처럼 수익의 가시성이 높은 영역에 집중하려는 분위기입니다.

HBM 분야 선두주자인 SK하이닉스는 지난해 DDR5와 4세대 HBM인 HBM3 매출이 각각 4배와 5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올해 고성능 D램 수요 증가 흐름에 맞춰 AI용 HBM3E 양산과 차세대 HBM4 개발을 진행하면서 서버와 모바일 시장에 DDR5, LPDDR5T 등 고성능·고용량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는 데 주력할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도 매 분기 HBM 판매 기록을 경신하는 가운데 작년 4분기에는 직전 분기 대비 40% 이상,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약 3.5배 규모로 판매량이 성장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HBM4의 경우 2026년 양산을 목표로 개발에 매진 중입니다.

아울러 성능을 고객 요구에 맞춘 커스텀 HBM 제품도 함께 개발하면서 주요 고객사와 세부 스펙을 협의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HBM 시장 규모는 30억 Gb(기가비트) 수준이었으나, 올해 수요는 보수적으로 잡아도 작년의 2.7배인 80Gb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메모리 제조사들이 앞다퉈 HBM 개발에 뛰어들고는 있으나 제조 난도가 높고 양호한 수율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공급 과잉까지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옴디아는 올해 HBM의 매출 기여도가 100억 달러(약 13조 3천억 원)를 넘어서겠고, D램 시장에서 매출 비중은 10%를 웃돌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